매일신문

계절의 복병 알러지성 비염

매년 이 맘 때가 되면 연례행사처럼 발작적인 재채기나 맑은 콧물, 코막힘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현재 전 인구의 10%가 앓고 있으며 매년 증가추세에 있는 '알러지성 비염'환자들이다.

인체 면역학적인 시스템에서 항원-항체의 과민반응에 의해 일어나는 코 속 점막 질환인 알러지성 비염은 대개 단순 감기나 감기 후 2차적인 세균 감염에 의한 비염, 혹은 축농증과는 구별될 뿐 아니라 코 점막이 불특정한 자극(찬 공기, 습도변화, 심지어 향수 등)에 과민하게 반응하는 혈관운동성 비염이나 백혈구의 일종인 호산구가 배출하는 독소에 의한 비알러지성 호산구성 비염과도 다르다. 다만 겉으로 드러난 증상이 비슷해 특수한 검사를 거치지 않으면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들 비염들은 감기처럼 대부분은 코막힘과 콧물이 주 증상으로 나타나지만 알러지성 비염은 이외에도 다른 예외적인 증상이 동반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침에 일어나면 코 안이 간지럽고 연속적인 재채기가 수차례 있은 후 맑은 콧물이 자주 흐르면서 코막힘이 있다면 알러지성 비염의 전형적인 증상에 속한다.

또 이런 증상은 원인물질(항원)에 노출됐을 때, 다시 말해 먼지가 많은 지하나 집안 청소를 한 후, 야외활동이 많았거나 꽃나무가 있는 주변을 지났을 때, 고양이나 개와 놀고 난 후 더 심해진다.

지금까지 알려진 알러지성 비염의 원인물질 중 가장 흔한 것은 집먼지, 또는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동물의 털, 바퀴벌레 등 이다.

알러지성 비염을 가지고있는 환자들은 코막힘, 반복적인 재채기로 사회생활과 편안한 수면을 방해받아 삶의 질마저 떨어지는 경우를 경험하게 된다.

한편 환절기에 주로 발생하던 알러지성 비염은 최근엔 황사와 매연으로 인해 연중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고 있는 점도 과거와 다른 양상이다.

이 때문에 알러지성 비염의 진단은 가족력과 주거환경, 알러지 원인물질의 노출여부가 중요한 잣대가 된다. 이 중 가족력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부모가 모두 알러지성 질환을 갖고 있으면 소아의 경우 75%에서 알러지성 질환이 나타난다.

보다 확실한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 내 염증세포의 하나인 호산구치 검사나 혈청내 총 면역 글로부린 검사, 비즙말도(면봉으로 콧물을 채취해 색의 변화로 알러지성 여부 판단) 검사, 피부반응 검사 등이 도움이 된다.

도움말·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이비인후과 안병훈 교수

◇ 알러지성 비염을 예방하려면

가족 중에 알러지성 비염 환자가 있다면 번거롭더라도 매주 담요, 이불, 베개, 카페트 등을 말끔히 털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먼지 진드기의 사체 부스러기는 봄철 알러지성 비염을 악화시키는 주범이다. 1주일에 1,2회 정도 진공청소기로 집안 구석구석을 청소해주면 집 먼지나 진드기 외 다른 알러지 물질도 제거할 수 있다.

나들이 때는 필터 마스크를 착용하며 귀가 후 얼굴, 팔, 겨드랑이 등 노출부위를 깨끗이 씻어주며 생리식염수로 코 안을 세척해도 비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

이외 욕실, 지하실 등은 한 달에 한 번 곰팡이를 제거하고 개나 고양이, 새 등의 애완동물은 키우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바람이 잦은 날은 외출을 삼가고 대한소아알러지 및 호흡기 학회 홈페이지(www.pollen.or.kr)의 '꽃가루예보제'를 참조하면 도움이 된다.

우문기기자 pody2@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