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대대적인 수술에 나섰다.
대구시는 11일 대중교통이 우선되는 효율적인 교통체계 구축과 대중교통 시설 확충, 서비스 개선 등을 담은 '대구시 대중교통기본계획안(2007~2011년)'을 발표했다.
시는 기본계획안이 예정대로 추진되면 시내버스와 지하철의 수송분담률이 지난해 38.6%(버스 31.5%, 지하철 7.1%)에서 2011년 50%(40%, 10%)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대중교통 시설이 부족할 것으로 보고 2011년까지 폭 30m 이상의 도로 23곳에 시내버스 환승정류장을 설치할 계획이다. 또 준공영제 시행 뒤 각종 잡음이 끊이지 않는 시내버스에 대해서는 유류비 등의 공동구매를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버스 광고 등을 공개입찰해 수입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대중교통 요금도 매년 또는 2년마다 조정하고 동부·안심·수성·남부·월배·성서·칠곡 등 권역별로 7곳에 버스 공영차고지를 확충하기로 했다.
시의 계획안에는 교통 약자를 위한 시설 및 제도 개선도 담고 있다. 시는 장애인, 노인, 임산부, 영·유아 등 교통 약자가 대중교통 이용객 10명 중 2.4명에 달하는 만큼 이들을 위한 저상버스 317대와 장애인 콜택시 80대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또 자전거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자전거 도로 및 부대시설을 확충하고 자전거 지도 제작, 자전거 등록제 등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대중교통서비스 개선책의 경우 야간 경제활동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시내버스와 지하철의 막차 출발시간을 1시간 연장해 시내버스는 23시 30분, 지하철은 24시에 각각 종점에 도착하도록 할 예정이다. 또 중앙로 대구역네거리~반월당네거리의 1.05㎞ 구간을 대중교통전용지구로 지정해 4차로를 2차로로 축소한 뒤 버스와 택시만 통행을 허용하기로 하고 내년 이후 기본·실시설계를 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지하철과 시내버스의 수입금을 함께 관리하는 대중교통공사도 설립해 민간경영 기법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권오곤 대구시 교통국장은 "대구는 승용차가 너무 많아 대중교통이 제구실을 못하고 있다."며 "대중교통기본계획에 대한 각계각층 전문가와 시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 검토해 대구 대중교통에 일대 변혁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서상현기자 ssan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