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군 포로·납북자 상봉 당당히 요구해야

제8차 적십자회담이 10일부터 사흘간 금강산에서 시작됐다. 작년 2월 7차 회담 개최 이후 14개월만이다. 아직 생사를 확인하지 못한 이산가족에게 지난 1년여의 시간이 10년처럼 길게 느껴졌을 것이라는 것은 짐작되고도 남는다.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으로 경색된 남북관계가 다행히 2'13 합의로 해빙 무드를 타면서 인도주의적 현안들도 진전될 것이라는 기대가 그 어느 때보다 큰 것도 사실이다.

지난해 7차 회담 때 양측은 남북 간 화해협력과 우리민족끼리의 정신에 맞게 적십자 인도주의 사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었다. 그러면서 5개의 구체적 사항에 대해 합의했다. 그중 이산가족 금강산 특별상봉과 화상상봉은 남측의 지원으로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지만 나머지 합의사항은 미진한 실정이다. 특히 국군포로 및 납북자 등 전쟁시기 및 그 이후 시기 소식을 알 수 없게 된 사람들에 대한 생사확인문제는 아직도 감감무소식이다.

이를 의식해 10일 우리측은 납북자 및 국군포로의 별도 가족상봉을 제안했다. 그러나 북측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알려져 뭔가 돌파구를 기대해온 이산가족 입장에서는 실망감이 이만저만 아니다. 북측은 지난 3월 납북자가족모임 최성용 대표의 금강산 방문도 거부한 바 있다.

정부는 최근 비판을 무릅쓰고 대북 쌀'비료 지원 재개를 결정했다. 2'13 합의 초기조치 이행에 따라 지원하겠다던 원칙마저 깼다. 인도주의적 차원이라는 명분을 내걸었다. 그런데도 북측은 체제안보 논리만 앞세워 납북자'국군포로 가족상봉을 외면하는 것은 형평에 어긋나는 처사다. 남측에 주는 것은 없고 받기만 하겠다는 심보나 다름없다. 정부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납북자 가족상봉을 당당하게 요구해야 한다. 북측도 강제로 갈라져 있는 이들의 아픔을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