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농소면에 건립 추진 중인 KTX 역사 명칭과 KTX의 경부선 구미역과 김천역 정차 문제를 놓고 김천, 구미 두 지역사회가 시끄럽다.
최근 김천에선 한국철도시설공단이 KTX 역사 조감도에 역사 명칭을 '김천·구미역' 으로 표기한 것과 관련, 시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이 같은 반발은 2003년 10월 건설교통부가 KTX 역사 건립 확정 때 '김천·구미역'으로 발표했을 때도 있었다. 김천 땅에 건립되는 만큼 지명을 그대로 따는 게 맞다는 논리다.
김천의 이런 분위기에 대해 구미시민들의 반발은 만만찮다. 김천·구미는 동일 생활권이고, 역사 건립비(1천486억 원)의 지방분담비 51억 원 중 경북도·김천시는 각각 15억 원씩 부담하는 반면 구미는 21억 원을 부담하는 점, 건립비 분담 협의 때 역명을 김천·구미역으로 하는 전제를 달았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KTX 이용 승객의 70% 정도가 구미쪽 임을 감안할 때 당연히 김천·구미역으로 해야 한다는 게 주된 주장이다.
이런 불편한 심기들은 KTX 구미역, 김천역 정차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구미시는 KTX 정차를 위해 철도공사가 요구하는 월 10억 원 정도의 운행 적자 보전을 혈세로 감당하기로 약속했지만 김천시가 뒤늦게 김천역 정차 문제를 들고 나와 구미조차 정차하지 않을지도 모르는 상황으로 간다고 노골적인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16일엔 구미지역 200여 개 시민단체의 연합체인 구미사랑시민회의가 KTX 역사 명칭 논란과 관련, 김천·구미 공동발전 선언문 채택으로 풀자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KTX 역사는 현재 실시설계 및 각종 영향평가가 진행 중이지만 조기 착공 염원과 달리 당초 목표인 올 연말 착공도 불투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역 명칭을 둘러싼 논란보다는 조기 착공을 위해 힘을 합치는 것이 더 시급하고 대승적 양보가 결국은 더 큰 이익으로 다가온다는 점을 깨달았으면 좋겠다.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