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천 개발 걸림돌 軍보호시설 해제를…"

시의회·시민단체, 정부·국회·국방부 등에 건의문

영천시 완산동 구공병대 부지 사태(본지 2006년 12월 18일자 11면 보도)가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영천시의회를 비롯한 지역의 각 단체가 영천지역에 산재한 군사보호시설의 해제 및 조기개발을 촉구하고 나섰다.

영천시의회는 시의원 연명으로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 건의문'을 작성한 뒤 최근 대통령비서실과 국회의장, 각 정당, 행정자치부, 건설교통부, 육군 군수사령부, 제2탄약창 등에 전달했다.

시의회는 건의문을 통해 영천에는 857만여 평이 군사관련 보호구역으로 묶여 있으며, 이로 인해 경부고속국도 개통 후 34년이 지났지만 나들목에서 시가지까지 직선 진입도로를 개통하지 못하는 등 개발에 발목이 잡혀 있다고 주장했다.

시의회는 또 한국전쟁 이후 시가지 진입도로 중간지점부터 군사시설로 지정되면서 도시가 기형으로 개발되고 있다며, 시가지 진입도로를 끼고 있는 40여만 평을 우선 해제시켜 지역이 균형개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종운 시의원은 "보호구역 내 산재한 사유지 176만 평은 국방부가 과감히 수용, 군이 민간인 토지를 강제로 점거하고 있다는 원성은 듣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천발전을 위한 시민모임 등 영천지역 시민단체들도 지난 1994년 외곽 이전 후 10년이 넘도록 폐허로 방치된 구 공병대 부지의 조기개발을 촉구하는 서명운동과 탄원서를 국방부와 관련단체에 전달했다.

5만 6천 평의 구 공병대 부지는 국방부가 지난 2002년부터 부지 매각에 나서 (유)대경개발에 312억 원에 낙찰됐으나 잔금납부가 지연되자 국방부가 계약을 해지해버려 업체 측과 국방부가 수년째 법정공방을 벌이고 있는 실정이다.

양측의 법정공방이 길어지면서 영천시 도심개발계획이 차질을 빚는가 하면 구 공병대 부지의 오랜 방치로 쓰레기가 쌓이는 등 영천시의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영천시 관계자는 "공병대 부지는 '2020 영천도시기본계획'의 핵심인 5대 전략사업에 선정돼 중심시가지로 개발계획이 잡혀 있다."면서 "구 공병대 부지의 개발에 따라 단지 내 주 간선도로와 공원, 초등학교 등의 기반시설을 연계할 계획이어서 매각이 늦어질수록 영천시 장기개발계획이 큰 차질을 빚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영천·이채수기자 csle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