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올 대선 만큼 '범 여권'이란 용어가 부각된 적은 별로 없었던 것 같다. 여권을 망라한다는 의미인데, 노무현 대통령 정부 출범 직후 여당이었던 민주당의 분당으로 열린우리당이 창당됐던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즉 양측 세력이 대선을 앞두고 단일 후보를 내세워야 한다는 공감대를 토대로 다시 합치려는 움직임과 맞물려 있는 셈이다. 때문에 한나라당에서 대선주자들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음에도 여권에서는 부각되는 인물들이 그다지 없는 이례적인 상황이 빚어지고 있는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이와 관련된 설이 무성하지만, 어느 정당이나 정파든 간에 여권의 통합 및 후보단일화 가능성에 일단 무게를 두고 있다. 그렇다고 성사 여부를 속단하기는 이르다. 방법론을 둘러싼 세력간 이견이 절충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
민주당은 열린우리당 탈당세력들과 함께 소통합을 한 후 범여권의 후보단일화를 추진하겠다는 생각인 반면, 열린우리당은 대선주자들을 중심으로 대통합을 이룬 뒤 단일후보를 선출하자는 주장으로 팽팽히 맞서고 있다.
소통합을 놓고도 민주당과 통합신당모임 간에 진통이 거듭되고 있다. 양측은 다음달 6일까지 외부세력까지 끌어들여 통합 신당을 창당키로 합의까지 했었으나, 뒤늦게 신당의 주도권을 둘러싼 갈등을 표출하다가 신당모임 측이 독자적인 창당 수순에 돌입해 버린 것.
대통합을 역설하고 있는 열린우리당은 오히려 당소속 의원들의 대규모 탈당사태, 나아가 당의 존폐 위기에 봉착할 수도 있는 처지이다.
게다가 범여권의 대선주자들 중에는 독자적인 창당 움직임을 가시화하는 쪽도 있다. 대전에서 지지모임이 결성된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은 출마를 한다면 독자적인 창당을 하겠다는 입장이고, 한나라당을 탈당했던 손학규 전 경기지사 역시 자신을 축으로 한 중도 신당을 추진중이다. 김근태 전 열린우리당 의장 세력인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련)' 소속의원들과 천정배 의원이 주도하는 탈당그룹인 '민생정치모임'간에는 또다른 창당 움직임이 있다. 친노(親盧)그룹도 '참여정부 평가 포럼'이나 '영남개혁 21' 등을 통해 세력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 같은 사분오열 상황에도 불구, 범여권의 대선 일정은 윤곽이 잡히고 있다. 대통합 쪽이든 소통합 쪽이든, 아니면 독자 신당이든 5, 6월 중 신당 창당이 가시화되고 뒤이어 대선주자들의 행보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또한 소통합이라면 각 진영의 대선후보 경선은 8월쯤 이뤄질 것으로 보이며 후보 단일화 혹은 대통합을 통한 후보선출은 9월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다.
물론 각 세력 혹은, 대선주자들 간의 갈등이 계속 확산된다면 후보 단일화가 성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권 일각에서 연말 대선과 관련, 한나라당의 분당을 전제로 4자 대결구도를 상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는 것도 이 같은 상황을 전제로 했을 것이다.
서봉대기자 jinyo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