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후 달서구 송현동 한 아파트 부근에서 학산(해발 140m·달서구 월성동 산 1-1번지)으로 오르는 길은 맨땅이나 마찬가지였다. 반경 1㎞ 내에 달서구 월성1·2동, 본동, 송현2동, 상인1동에 접해 3만 명이 넘는 주민들이 살고 있는 학산은 주민들의 좋은 휴식처이지만 이 때문인지 훼손도 그만큼 심했다. 등산로를 따라 뿌리를 허옇게 드러낸 나무들은 맨땅에 겨우 의존해 있었고 쓰레기들도 쉽게 눈에 띄었다. 이곳에서 만난 주민들은 "학산 등산로는 거의 거미줄 수준이어서 등산로 입구만 족히 30곳은 될 것"이라며 "사람들의 발길이 닿는 곳은 그대로 새로운 등산로로 이어지고 있을 정도"라고 우려했다.
신음하고 있는 학산을 살리기 위해 주민들이 나섰다. 학산 등산객 및 주민들이 모여 학산보호운동을 위한 자발적인 모임인 '학사모(학산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를 만들어 걷기대회 등 학산 살리기 캠페인을 벌이기로 한 것. 이들은 해당 동사무소 등 관공서와 함께 오는 28일 '자연보호 활동 및 가족 건강 걷기' 행사를 여는 한편 산책로 통제, 정비 등도 계획하고 있다.
학산은 1965년 도시 근린 공원(66만㎡)으로 지정된 뒤 주민들의 허파 역할을 톡톡히 해왔지만 최근 급격히 훼손됨에 따라 대구시는 올해 예산 10억 원을 책정, 산책로와 등산로를 정비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그러나 토지 매입 비용이 만만찮은데다 전체 산책로를 정비하는 데 4, 5년은 족히 걸릴 것으로 보여 주민들 사이에 대구시만 바라보고 있을 수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 실제 학산 전체 면적의 81%가 개인이나 학교법인 소유로 돼 있어 산책로 정비 등 개발과 관련해 지주와 협의를 거쳐야 하지만 지주들은 구청이나 시에서 나서 부지를 매입한 뒤 개발하라고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인위적인 방법은 피하면서 몸이 불편한 사람들도 이용할 수 있도록 정비하는 데만 비용을 들일 예정이지만 지주들과의 협상이 난제"라고 말했다.
배보용 학사모 공동대표는 "아파트가 속속 들어서면서 학산 훼손은 하루가 다르게 빨라지고 있다."며 "출입통제 등 산책로 정비가 절실하지만 대구시의 대책만 무작정 기다리고 있을 수 없어 학산을 이용하는 주민들이 스스로 나서게 됐다."고 말했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