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5 재보궐 선거 참패가 한나라당을 흔들고 있다.
강재섭 대표는 자신의 거취를 두고 장고에 들어갔고 강창희·전여옥 최고위원과 임명직 당직자들을 사퇴했다. 26일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 4·25 재보궐 선거 참패의 책임을 두고 의원들은 지도부 책임론과 당 해체까지 주장했다. 일부 의원들은"선거 패배가 지도부 사퇴의 이유가 될 수 없다."며 강 대표 엄호에 나섰지만 강경 여론에 묻히는 분위기였다.
강 대표는 의총이 끝난 뒤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의원총회에서 논의된 내용과 최고위원들이 제시한 의견을 바탕으로 고민을 한 뒤 결정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기준 대변인은 "대표가 주말 동안 지도부 교체 문제를 포함한 당의 진로, 공천 관련 제도 변경, 당 감찰기능 강화 방안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깊게 고민한 뒤 입장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는 지도부 책임론 및 당 진로, 대선후보 경선 일정 등을 둘러싸고 격돌이 벌어지며 한나라당이 처한 현실을 그대로 보여줬다.
친이(親李·친 이명박)계로 알려진 의원들은 강 대표의 즉각사퇴와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임시전당대회 개최 등을 요구했고 친박(親朴·친 박근혜)계로 분류되는 일부 의원들은 현 지도부의 유임을 강조하며 날카롭게 대립했다. 대선주자 이명박·박근혜 '빅 2'에 대한 책임론도 쏟아졌다.
일부 의원들은'오픈프라이머리(국민참여경선제)' 도입을 주장하며 강도높은 당 개혁을 요구했다. 게다가 대전 서을 선거결과를 두고 빅2 진영이 신경전을 벌이는 등 당이 처한 한계를 고스란히 보여줬다는 평가다.
이런 가운데 최고위원회의에서는 강 대표를 포함한 지도부의 재신임 방안이 집중 제기됐다. 다음달 중 전당대회 수임기구인 전국위원회를 소집해 대선후보 경선 관련 문제를 포함한 당 쇄신방안을 발표하고 이를 지도부 재신임과 연계하는 것으로 최고위원 대다수가 이 방안을 지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강 대표가 이번 재보선의 참패의 원인 제공자 중 한 명으로 지목되는 가운데 재신임이 되더라도 얼마나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견해가 우세하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