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어린이날,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선물을 줄까?
요즘 부모들은 워낙 생각이 많아 장난감 등 물건을 사주기보다는 실제 아이에게 교육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을 찾고 있다. 그래서 늘고 있는 '선물'이 어린이펀드.
하지만 어린이펀드도 생각을 잘 하고 선택해야 한다.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많다는 사실을 유념하시길.
◆장점은?
시중의 금리상승률은 교육비의 연간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자녀를 위한 목돈마련 수단으로 펀드상품을 선택하는 것은 미래에 있어서 현명한 선택이다. 잘만 하면 교육비 상승률을 능가하는 엄청난 수익률을 낼 수 있어, 교육비 부담을 덜 수 있는 것이다.
자녀에게 경제와 투자의 개념을 가르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자녀 스스로 용돈을 적립식으로 펀드에 불입하게 만들면 '펀드가 어떤 금융상품인지' '펀드는 어떻게 수익률을 내는지' 등을 자연스럽게 알게 돼 살아있는 경제공부를 스스로 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혜택도 있다. 우선 10년간 1천500만 원까지 증여세 면제를 받을 수 있다. 부모가 넣어준 돈이라도 10년간 1천500만 원까지는 증여세를 물지 않는 것. 어린이 펀드 가입자들은 명문대학 방문, 경제교육 프로그램 참여 등 다양한 이벤트 참가자격도 받을 수 있다.
◆유념할 점
펀드에 가입할 때는 비용을 내야 한다. 우선 돈을 굴리는 일정 기간마다 계속 내야 하는 돈, 즉 '보수'가 있고, 가입할 때 한 번만 내는 '수수료'도 있다.
그런데 어린이펀드는 장기투자이기 때문에 '보수'가 매우 중요하다. 불행하게도 우리나라는 미국과 달리 '보수'가 매우 높다. 수익의 상당부분을 '보수'로 지불할 수 있다는 얘기다.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어린이펀드의 경우, 보통 보수가 2% 이상. 인터넷 전용펀드나 인덱스펀드의 0.7~1.5%와 비교할 때 매우 높은 편이다. 보수를 내는 방법은 '선취형(최초 입금할 때 1% 정도를 떼고, 운용기간 중 나머지가 빠져나가는 방식)'과 '후취형(입금할 때 떼는 것이 없고, 운용기간 중 보수 납부)'이 있는데 단기투자는 후취형이, 장기투자는 선취형이 유리하다.
현재 판매중인 어린이펀드는 대부분 후취형. 어린이펀드가 학자금, 결혼자금 등 장기목적이 많은 장기투자상품인데도 후취형으로 보수를 내게 되면 결국 가입자에게 불리해진다.
어린이펀드의 장점으로 여겨지는 증여세도 잘 생각해 봐야 한다. 어린이 명의로 가입했을 경우, 10년에 1천500만 원이 넘으면 증여세를 물어야 한다.
실제로 최근 한 자산관리사와 상담한 40대 가장은 한 금융기관 직원의 소개를 받고 월 100만 원씩 넣는 어린이펀드에 가입한 사례도 있다. 증여세를 고스란히 물어야 할 처지인 것이다.
어린이경제캠프, 상해보험가입 등 어린이펀드의 부가서비스에 대한 실효성도 생각해 봐야 한다. 캠프 참가는 당첨확률이 낮고, 상해보험은 형식적이어서 보험으로서의 기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자료협조:위드자산관리 053-746-2211.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