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日우대 韓박대'의 美테러 보고서

미국 국무부는 지난 30일 발표한 '2006 테러 보고서'에 북한을 이란 등과 함께 '테러지원국'으로 다시 명시했다. 테러 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하라는 북한의 요구에도 미국은 기존의 입장을 그대로 고수한 것이다. 아웅산 테러·김현희 사건을 비롯해 한국전쟁 이후 485명의 납북자 피해를 입은 우리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결과다.

하지만 북'미 관계 정상화 등을 의식한 때문인지 북한을 테러 지원국으로 지정한 근거를 설명한 보고서 내용은 축소 또는 삭제됐다. 특히 '2'13 합의에서 북한에 대한 테러 지원국 지정 해제 과정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명기해 북한이 테러 지원국에서 해제될 가능성을 열어놓는 등 북측을 자극하지 않으려고 신경 쓴 흔적이 요소요소에 보인다. 또 비록 보고서 분량을 크게 줄였지만 일본인 납북자 기술은 그대로 남겨 둬 일본에 대해 다분히 배려하고 있다. 반면 한국인 납북자와 제3국 납북자 내용은 삭제해 버렸다. 심하게 말하면 한국인 납북자 485명은 관심 밖이고, 일본인 납북자 12명은 언급할 가치가 있다는 투다.

이번 테러 보고서는 북'일의 목소리는 반영하면서도 한국 입장은 무시하거나 배제됐다는 점에서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그동안 납북자 문제에 별 관심을 보이지 않은 정부가 스스로 제 손을 묶은 꼴이다. 정부가 정치적 목적 때문에 납북자 문제를 외면하는 사이 납북자 가족들이 또다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이다. 북한은 테러 지원국의 汚名(오명)에서 벗어나기 위해 '2'13 합의'만을 등에 업고 목청을 높여서는 안 된다. 직접 테러를 가하거나 테러를 지원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만이 문제를 푸는 유일한 길이다. 납북자 문제 해결을 포함해 같은 민족을 향한 테러를 중단해야 쌓인 원한과 불신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