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구도가 흔들리고 있다. 한나라당에서는 경선 룰을 둘러싼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 간의 갈등이 분당위기를 고조시키고 있고, 범여권에서도 친노(親盧)와 반노(反盧) 세력 간의 갈라서기가 본격화하고 있다.
한나라당에서는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는 여론조사 반영방식을 싸고 타협보다는 각자의 입장을 관철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번 주중에 강재섭 대표가 제시할 중재안을 양측이 수용할지 여부에 대해 당내에서는 부정적 시각이 강하다.
양측 갈등요인은 경선룰만이 아니다. 후보검증위 구성 문제나 시·도당위원장 및 당원협의회장 선출 과정에서 '자기사람 심기' 경쟁 등이 또 다른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열린우리당에서는 김근태·정동영 전 의장 세력들이 이달 중 탈당 움직임을 가시화, 친노파-반노파 갈등으로 고조되고 있다. 양대 계파인 김·정 전 의장 측 의원들이 탈당할 경우, 그 규모는 30~40명이 될 것으로 관측, 열린우리당 의원 수는 70명 안팎으로 줄어든다. 정세균 의장 등 친노가 아닌 당 사수파들까지 추가 탈당할 수도 있다.
통합신당모임과 민생정치모임은 물론, 민주당까지 반노 세력으로 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친노-반노 대립 구도가 열린우리당에서 범여권 차원으로 확산되는 셈이 된다.
이강철 대통령 정무특보, 유시민 보건복지부장관 등 친노 세력들은 반노 세력들을 겨냥, "무작정 당을 깨자는 것은 무책임한 행위다. 떠날 테면 떠나라."고 잇따라 견제구를 날리고 있다. 이광재 의원도 "가출을 자꾸 하면 습관이 되고, 탈당도 자꾸 하면 이마에 '주홍글씨'가 쓰여진다."고 발언 수위를 높이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도 지난달 27일 정 전 의장을 만나 "(정 전 의장이) 탈당하면 내가 다시 당에 들어가겠다."는 승부수를 띄운 것으로 전해졌다. 노 대통령의 재입당이 현실화될 경우 탈당 대통령의 복당이라는 헌정사상 초유의 일이 벌어지며, 범여권의 친노-반노 대립은 전면전 양상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연말 대선이 이 전 시장, 박 전 대표와 친노, 반노의 대선 주자들이 맞서는 4자 대결 구도가 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서봉대기자 jinyo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