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치권 '同色' 설전 위험수위

한나라당과 범여권 모두 단합(통합)을 지향하지만 내부를 들여다보면 말싸움이 갈수록 거칠어지고 있다. 이 같은 설전이 위험수위로까지 치닫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올 정도다.

한나라당에서는 15일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 두 대선주자까지 직접 나서서 경선 룰 중재안을 둘러싼 갈등 봉합과 관련, 서로 양보했다고 설전을 벌였다.

이 전 시장은 "말장난은 서로 할 필요가 없다. 말대꾸를 할 필요 없다."며 자신이 국민을 위해 결단했음을 거듭 강조했으나, 박 전 대표도 "중재안의 3개 항 가운데 1개가 빠진 것으로 (기존의 합의에서) 또 한 번 바뀐 것을 우리가 받은 것"이라고 맞섰다.

또 박 전 대표는 전날 "우리나라에도 법 위에 '떼법'이 있다고 하는데 그럼 떼쓰는 사람의 뜻대로 되지 않겠느냐. 한쪽 주장을 따라 줘 평화를 지켜나간다면 사당이지 공당이 아니지 않으냐."고 날을 세웠다.

양 주자들의 측근들도 가세하고 있다.

이 전 시장 측 정두언 의원은 박 전 대표의 원칙론에 대해 "공주적인 발언"이라고 비난한 데 이어 "원칙을 빙자한 생떼정치를 막지 못한 게 (우리의) 손해다. 자기한테 유리하면 원칙이고 불리하면 개인 의견이라는 생떼정치는 중단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박 전 대표 측 김재원 의원은 "경선 룰에 대한 경선준비위 합의안이 엄연히 있는데도 이 전 시장 측에서 계속 바꾸려고 하니까 문제"라고 응수했다.

범여권 경우 민주당 박상천 대표가 통합의 배제대상으로 국정 실패 책임이 있는 전직 총리와 좌편향 진보노선의 전직 당의장 등을 거론한 것을 두고 격한 말이 오가고 있다.

열린우리당 서혜석 대변인은 15일 "분열적 행태"라며 "대통합의 숲을 이루려면 오만과 작은 이익 때문에 민주당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하는 자승자박을 범하지 말라."고 성토했다.

그러나 민주당 박 대표는 "'열린우리당 아류', '열린우리당 이중대'로 인식되면 한나라당과 경쟁할 수 없다."고 맞받았다. 나아가 대변인단을 동원, "인신공격과 구태정치를 중단하라." "남의 하는 일에 감 놔라 배 놔라 해선 안 되며 열린우리당과 함께하는 것은 동반자살밖에 안 된다."고 공격했다.

서봉대기자 jinyo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