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정을 종합점검했던 정부합동 감사반이 울릉도 一周道路(일주도로)를 현재의 '지방도'에서 '국도'로 전환토록 건설교통부에 요청했다. 경북도청이나 울릉군청에 의해 '國支道'(국가지원지방도) 전환이 건의된 바 있을 뿐 중앙정부 조직에 의해 國道(국도) 전환 필요성이 제기되기는 처음 아닌가 싶다. 지역의 오랜 숙원인 완전 개통과 국가 관리가 드디어 실현되려나 기대가 부푼다.
전체 길이 100리 남짓하게 계획된 그 일주도로는 건설 착수 44년이 지나도록 완공이 요원한 숙제이다. 1963년에 만들기 시작했으나 38년에 걸쳐 790억 원을 투입하고도 90%밖에 완성하지 못한 채 2001년 공사를 중단했기 때문이다. 섬사람들이 전구간 개통을 손꼽아 기다리지만 아직도 마지막 4.4km 구간 건설엔 엄두를 못 내고 있다. 자연훼손 등등의 우려도 어느 정도 조화시켜 냈으나 1천500억 원에 달한다는 공사비가 문제라고 했다. 일주도로의 현재 格(격)은 광역지방정부가 책임지는 '지방도'이지만 경북도청은 그 많은 건설비를 부담하기에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오히려 도청은 태풍 때마다 피해가 너무 커 이미 개통한 구간의 유지비 부담에만도 힘겹다고 했다. 2002년 겪었던 수직암벽 붕괴로 인한 도로 두절, 2003년 태풍 매미 때 망가진 어떤 구간 복구에 3년이나 걸린 일 등이 사례라 했다.
그 때문에 중앙정부가 일주도로 건설'유지를 맡아 주는 것은 지역의 오랜 숙원이었고, 그런 희망은 여러 차례 전달되기도 했다. 하지만 2002년엔 국무조정실에서, 2006년에는 당시 추병직 건교부 장관이 '국지도' 전환 추진을 약속했으나 허사였다. 그런 상황에서 지난달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현지 사정에 공감했다는 소식이 들리더니 최근엔 정부 감사반이 오히려 지역의 고충에 공감하고 나섰다니 얼마나 다행인지 모를 일이다.
이로써 울릉 일주도로의 국가 관리 필요성은 자타에 의해 공인됐다고 우리는 믿는다. 통행량이 많지 않은 내륙 국도를 애써 4차로로 확장하는 등등의 일로 미뤄 중앙정부의 여력 또한 충분하리라고 생각한다. 마침 울릉은 독도의 지정학적 중요성 때문에 국가적 지원의 당위성이 더 높아진 지역이기도 하다. 이번이야말로 건교부가 결단을 내려 조속히 행동으로 옮길 기회라 믿는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