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장애인 김모(52) 씨에게 바깥 출입은 위험천만한 도전이다. 전동휠체어를 타야 하는 김 씨는 인도의 높은 턱 때문에 차도로 다녀야 하기에 늘 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다. 김 씨는 지난달 달서구 월성동에서 도로를 지나다 승용차에 치여 병원 신세를 지는 등 두 차례나 교통사고를 당했다.
시각장애인 이모(46) 씨는 최근 길을 걷다 자동차 진입억제용 말뚝, '볼라드'에 받혀 다리를 다쳤다. 줄줄이 늘어선 대리석 볼라드를 피하지 못하고 부딪혀 넘어진 것. 현행법상 볼라드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를 덧대게 돼 있지만 이를 지킨 경우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이 씨는 "점자블록을 따라가다 갑자기 나타난 장애물 때문에 아찔했던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며 "횡단보도의 교통음향신호기도 제 구실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장애인과 노약자, 어린이 등 교통약자에게 이동권은 커다란 숙제다. 이들을 위한 교통편의시설이 거의 없는데다 오히려 이동에 장애가 되는 사례도 적지 않은 탓이다. 이 때문에 상당수 장애인들은 아예 바깥 출입을 포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장애인단체들은 중증장애인의 경우 60% 이상이 집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처럼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높은 가운데 대구시가 처음으로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를 위한 계획 마련에 나서 주목받고 있다. 대구시는 1억 5천만 원의 사업비로 내년 5월까지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5개년 계획'을 세우기로 하고 지난달 용역기관을 선정했고, 9월 중 착수, 보고회를 열 예정이다.
시는 교통약자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을 토대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시는 모든 교통수단과 교통 관련 시설을 대상으로 어떤 편의시설이 설치돼 있으며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조사하기로 했다. 또 저상버스 확대 도입, 장애인 콜밴, 셔틀버스 등 장애인을 위한 이동지원센터 설립과 지하철 이용을 위한 엘리베이터 설치 여부, 교통음향신호기·보도 내 시설물 등 보행환경에 대한 실태도 조사할 예정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각 교통수단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내년 1월쯤 공청회를 연 뒤 4월에 개선 방안과 재원 조달 방안 등을 포함한 최종보고회를 마련할 방침"이라며 "또한 전문가와 교통약자가 함께 참여하는 자문위원회를 구성, 현장의 목소리를 담을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육성완 대구DPI 사무국장은 "지역에서 처음으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에 대해 계획을 세우는 것이라 기대가 크다."면서도 "용역기관이나 전문가 입장이 아닌 장애인 당사자 입장에서 이동편의 문제들이 고려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