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기업 지원정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기업 성장주기에 따른 '맞춤형 차별화 지원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구경북연구원 나중규·오동욱 연구원은 20일 발표한 대경CEO브리핑에서 외부 전문가 및 시 공무원을 통한 현장민원 해결, 특정기업군에 대한 포괄적 지원보다 창업(영세기업)→성장(중소기업)→성숙(중견기업) 단계로 나눈 뒤 기업 성장주기에 따른 차별화한 기업지원시스템을 대구시가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현재 '기업현장민원지원제(VJ특공대)', '기업지원담당관제', '스타기업', '천억클럽기업'등의 지원책을 펴고 있지만 포괄적이고도 선언적인 지원책이어서 효율성에 한계가 있다는 것.
연구원들은 R&D 투자, 경영환경 개선, 인력공급, 유통 및 판매선 확보 등 기업별로 애로 요소가 다른 것도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이 필요한 이유라고 밝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정책들을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정책으로 체계화시켜 나가면서 차별화하는 지원방향과 컨텐츠를 찾아야 한다고 두 연구원은 강조했다.
두 연구원은 맞춤형 기업지원시스템을 위해 ▷기업성장 단계에 부합하는 관련기관 간 맞춤형 네트워크 구축 ▷성장단계별 일관 지원체계를 위한 기업지원시스템 매뉴얼(지침) 제작 ▷지원시스템의 사전·사후평기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동반성장을 유도하는 연계정책 ▷수혜기업이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 등에 대한 시스템도 마련돼야 한다고 연구원들은 밝혔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