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조선시대 銘文자기' 칠곡서 무더기 출토

경북 칠곡 학하리 분청사기 가마유적과 출토된 명문자기들.
경북 칠곡 학하리 분청사기 가마유적과 출토된 명문자기들.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자기소(磁器所)를 확인해 줄 유적이 발굴됐다. 영남문화재연구원(원장 이백규)은 21일 경북 칠곡군 가산면 학하리의 가산컨트리클럽 조성부지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명문이 새겨진 자기 등 유물이 다수 출토되었다고 밝혔다.

가마터 일대 발굴조사에서 나온 유물은 접시와 대접, 병, 합 등의 자기와 갑발, 갓모, 도침, 점토눈 등 1천600여 점. 조각까지 합치면 2천여 점이 넘는다. 그 중 특히 관심을 끄는 점은 발굴된 유물 중에 '司膳(사선)'을 비롯한 '公(공)' '寧(녕)' '順(순)' '金(김)' '定(정)' '大(대)' 등 다수의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었다는 것.

이 명문은 관사명('사선' '녕' '순')과 도공명('김' '정' '대') 그리고 공납용('공')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원 측의 설명이다. 따라서 "세종실록지리지 기록과 출토된 명문자기 등을 참고할 때 해당 유적은 동쪽의 학상리 자기 가마터 일대와 함께 '인동현에는 자기소 1개소와 도기소 1개소가 있다.'는 기록상의 자기소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하진호 조사과장은 "조선 초기 분청사기 가마터에서는 명문이 잘 안 나오는데 비해 이번 발굴조사에 명문이 많이 나온 것으로 보아 가마의 수준이 달랐음을 알려준다."며 "궁중에서 왕의 음식을 관장하던 관청인 사선청 등에 자기를 납품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조문호기자 news119@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