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고사는 제한된 시간에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제시문의 핵심 내용을 파악해야 한다. 때로는 제시문이 길거나 여럿인 경우들이 있고, 더구나 익숙하지 않고 난해한 개념들이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원칙적으로는 제시문 전체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파악이 잘 안 되는 부분에 얽매여 시간을 보내다 보면 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각 단락별로 대체적인 중심 내용을 파악하는 정도로도 논제에 대한 글을 쓰기에는 큰 어려움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기본적으로는 세밀한 부분에 너무 얽매이지 않는 것이 좋다. 또 제시문 독해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에는 제시문 자체에 대한 개별적인 독해보다는 논제 분석에서 파악한 내용에 맞추어서 제시문을 읽고 정리할 필요도 있다. 앞으로 4회에 걸쳐 분석하는 과정은 단지 대입논술고사를 위한 제시문 읽기가 아니다. 모든 글읽기를 위한 전략적인 방법이다. 전략적 글읽기의 과정은 '표면적 구조와 개략 읽기 → 단락 간의 이면적 구조 읽기 → 기본적인 의미 찾기 → 궁극적인 의미 찾기'로 이루어진다. 글쓰기와 글읽기는 모두 전략적인 작업이다. 결국 글읽기는 작가의 글쓰기 전략을 독자가 파악해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제시문은 박지원의 『열하일기』중의 한 대목이다. 『열하일기』는 박지원이 44세 되던 1780년(정조 4년) 5월 25일 청고종의 고희 축하 사절단의 일원으로 북경과 열하를 여행하고 10월 27일 돌아오기까지의 체험을 적은 일기 형식의 여행기이다. 그러나 단순한 여행기와는 달리 여정이나 견문만이 아닌 사상적 논설, 시화와 잡록, 문서나 서적으로부터의 인용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즉, 주요 여정은 일기체로 서술하되 이에 포함시키기 힘든 중요 사항들은 기(記)나 론(論), 설(說)의 형식으로 독립시켜 해당 편의 부록화함으로써 기사체식 방식을 곁들이고 있다.
전략적 글읽기에서 다루고자하는 글인 은 조에 포함되어 있다. 은 7월 15일 신묘일에서 23일 기해일에 이르기까지 9일 동안의 여행기를 담고 있다. 서문을 필두로 하여 신묘일기, 북진묘기, 거제, 희대, 시사, 점사, 교량, 임진일기, 계사일기, 갑오일기, 을미일기, 병신일기, 정유일기, 무술일기, 기해일기, 강녀묘기, 장대기, 산해관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은 그 중에서 첫째 날인 7월 15일 신묘일기에 실려 있다. 『열하일기』는 여행기이다. 여행기의 주요 요소가 여정과 견문, 감상이라면 그것은 모두 '장관'에 대한 견문과 감상일 것이다. 넓은 요동에서부터 북경을 거쳐 황제가 기거하는 열하에 이르기까지 모든 장관에 대한 기록이 바로 『열하일기』이다. 『열하일기』라는 저술의 성격상 은 이 저술의 서론에 해당되는 것이며 『열하일기』의 저술 태도와 여행 전반에 대한 필자의 관점이 피력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박지원의 글쓰기는 대단히 전략적이다. 당연히 글읽기도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자료 전문은 분량이 많기 때문에 인터넷 대구매일신문(http://imaeil.com)과 대구통합교과논술중심카페(http://cafe.naver.com/tgnonsul.cafe)에 탑재한다.
· 첫째 과정 : 표면적 구조와 개략 읽기
전략적 글읽기의 첫째 과정은 제시문의 표면적 구조와 개략 읽기이다. 글의 전체적인 짜임을 개략적으로 파악하는 과정이다. 의 첫 부분인 신묘일기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가) 가을 7월 15일, 신묘일, 개다. ~ 이 날은 매우 더웠다.
(나) 우리나라 사람이 연경으로부터 돌아온 사람을 처음 만나면 ~ 장관이다.
(다) 구광녕성은 의무려산 아래에 있다. ~ 광녕을 잃고 천하대세는 넘어가 버렸다.
(가)는 여행기의 일반적인 성격을 그대로 지닌 부분이다. 날짜와 날씨, 동행자들, 여정이 자세하게 나타나 여행기의 요건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30리, 40리라는 리수까지 기록할 만큼 치밀하다. 일반적인 여행기의 체제라면 이어서 그날 구경한 것들에 대한 느낌이 진술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나)에서는 그러한 여행기와는 전혀 다른 내용이 갑자기 시작된다. 우리나라 선비들이 북경에서 돌아온 이를 처음 만나면 반드시 묻기를 "그대 이번 여행에서 제일 장관이 무엇이더냐? 그 제일 장관을 뽑아서 이야기 해 다오."라며 장관에 대한 물음이 제기된다. 이에 대해 요동 들, 구요동 백탑...등의 장관이 제시되고 뒤이어 상사(上士), 중사(中士), 하사(下士)의 대답과 필자의 논평이 나타난다. 이 부분이 신묘일기의 80%를 차지한다.
그런데 (다)에 오면 다시 (가)의 서술로 되돌아간다. 즉, 구광녕성에 대한 표면적인 모습과 관제묘에 대한 진술, 구광녕성에 담긴 명의 패망에 대한 기억 등이 이야기된다. 이는 여행기의 일반적인 진술 그대로이다.
전략적 글읽기의 핵심 대상은 (나)부분인 이다. 은 여섯 개의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1) 우리나라 사람들이 연경에 ~ 제일 장관이던 것을 뽑아서 이야기해 주시오.
(2) 사람들은 그 보는 바가 달라서 입에서 나오는 대로 ~ 의견이 분분해서 이루 헤아릴 수가 없다.
(3) 그런데 상사는 씁쓸한 기색을 지으면서 ~ 말하는 사람도 묵연하고 듣는 사람들도 숙연해진다.
(4) 그리고 중사는 말하기를 ~ 백년을 하루같이 이어져 내려오니 참으로 장한 일이다.
(5) 그러나 존주(尊周)는 존주이고 이적(夷狄)은 이적이다. ~ 중국에 볼 만한 것이 없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6) 나는 하사다. ~ 운애 낀 숲의 기이함 등만이 장관이랄 것이 아니다.
(1)은 논제를 제시해주는 부분이다. 장관에 대하여 이야기해 달라는 물음이 제기되어 논의의 방향을 알려준다. (2)는 일반적으로 들을 수 있는 장관들이 제시된다. 요동의 넓은 들을 비롯하여 구요동 백탑, 연로의 시가와 점포, 계문의 내 낀 숲...등이 그것이다. (3)은 상사의 의견이 제시된 부분이다. 상사는 도무지 볼 것이 없다고 한다. 황제를 비롯하여 장군, 재상, 대신 같은 관원, 선비, 일반인 등도 머리를 깎았는데 한 번 머리를 깎으면 되놈이니 짐승 같은 되놈에게 무엇이 볼 게 있느냐 한다. (4)는 중사의 의견이다. 모든 것이 야만의 자취를 따랐으니 볼 만한 게 없다고 하면서 10만의 군사로 중원을 평정한 다음에야 장관이 있다 한다. (5)는 (3)과 (4)에 대한 반론이 제기된 부분이다. 즉, 존주는 스스로 존주이고 이적은 스스로 이적이라고 하면서 이적을 물리치려면 먼저 우리 인민을 이롭게 하여 저들을 이길 수 있게 한 연후에 장관이 없다고 하라 한다. (6)은 하사의 의견이 제시된 부분이다. 스스로 하사라고 하면서 기왓조각이나 똥덩이에 장관이 있다고 한다. 이렇게 정리한 단락의 의미와 단락 사이의 의미망을 파악하여 글의 본질에 접근하는 과정은 다음 단계이다.
『열하일기』, , 신묘일의 기록
(가) 개었다.
내원·태의 변관해·주부 조달동과 함께 새벽에 소흑산을 떠나 30리를 가 중안포에서 점심을 먹고, 다시 먼저 떠나 구광녕을 거쳐 북진묘를 구경하고는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