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식경제자유구역 지정 차별화 전략마련이 관건"

대구·경북 토론회

▲ 대구·경북 경제도약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 추진되고 있는
▲ 대구·경북 경제도약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 추진되고 있는 '지식경제자유구역'지정계획안 보고회 및 토론회가 시·도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2일 오전 대구은행 본점에서 열렸다. 김태형기자 thkim21@msnet.co.kr

대구·경북의 비전이자 경제도약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 추진되고 있는 지식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자유구역 개발주체인 경제자유구역청에 최대한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철저하게 차별화 된 마스터플랜을 만들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2일 대구은행 본점에서 김범일 대구시장, 김관용 경북도지사와 대구 동·남·수성구청장 및 달성군수, 경북 구미·경산·영천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달말 정부에 제출할 '지식창조형 경제자유구역'보고회 및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보고회에서 시·도 관계자 및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대구 경북의 지식경제자유구역 지정계획안을 기존의 물류·항만중심의 경제자유구역과 차별화하고 지역의 특수한 산업·역사·문화 환경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철 대구경북연구원장 등은 시·도지사가 임면권을 갖고 있는 기존 경제자유구역청과 달리 지식창조형 경제자유구역은 경제자유구역청 구성과 권한에 대해 중앙정부 등에 최대한의 자율권을 보장해야 지구지정 및 개발에 유리한 조건이 만들어진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또 지식경제자유구역 차별화 방안으로 ▷특화된 지식기반산업 육성 ▷지역 특성을 고려하면서 지역간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네트워크형 개발 ▷정부의존 최소화 ▷외자유치를 위한 획기적인 인센티브 제공 ▷친환경적인 개발 ▷글로벌 산업클러스터 구축 등을 제시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