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람들은 한약(탕약)을 질병 치료보다는 '건강증진을 위해서' 복용하는 경우가 많고, 치료 목적으로 한약을 찾을 때는 근골격계와 내과질환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내용은 대구시 수성구한의사회가 지난 8월 36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방의료기관 이용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르면 한방의료기관을 이용하게 된 이유에 대해 '치료 만족도가 높아서'라고 응답한 경우가 45.6%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론 '주변 사람을 통해서'가 25.5%인 것으로 집계됐다.
한방의료기관에서 한약(탕약)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대답한 사람은 90.1%였으며, 한약을 복용한 적이 없는 사람들에게 그 이유를 물었더니 '비용이 비싸서', '맛이나 향기 등으로 인해 먹기 곤란해서'라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한방의료기관이 아닌 다른 곳에서 한약을 복용한 경험에 대한 질문에서는 49.7%가 '그렇다'고 대답했으며, 이들은 한약방, 제탕원, 개인 조약, 홈쇼핑 등을 통해 한약을 복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약의 안전성 문제와 관련해, 그 책임이 정부에 있다고 답한 경우는 34.6%였고, 한의사에게 있다고 한 경우는 23.9%, 유통업자는 20.9%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약의 제형(약의 형태)을 젤리나 알약 형태로 변화시키는데 대해 65.1%가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이재수 수성구한의사회 회장은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약이 더 대중화하기 위해선 극복해야 할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한약 복용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선 탕약 중심에서 벗어나 여러 가지 다른 형태를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교영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