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보증부 대출이 최근 1년 반 동안 50%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이 대출자에 대한 신용평가의 정밀도를 높이기보다 연대보증인을 세우는 방식을 통해 위험을 떠넘기는 주먹구구식 대출 행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2일 금융감독원이 한나라당 김양수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민·신한·우리·하나·기업·SC제일·한국씨티·외환은행 등 8개 시중은행의 올 8월 말 기준 연대보증 대출 잔액은 81조 8천705억 원으로 1년 반전인 2005년 말의 55조 777억 원에 비해 48.6% 급증했다. 같은 기간 예금은행의 총대출금은 614조 원에서 764조 원으로 24.4% 늘어나는 데 그쳤다. 연대보증 대출의 증가 속도가 일반대출보다 2배 더 빨랐던 셈이다.
시중은행의 대출 확장 경쟁이 2005년 말부터 시작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은행들이 영업을 확대하면서 개별 대출자들의 신용을 엄밀히 판단하기보다 연대보증이라는 손쉬운 방법을 통해 신용을 보강했다는 의미로도 풀이될 수 있다. 실제로 이 기간 중 대출 확장 폭이 컸던 은행들이 연대보증 대출도 크게 늘렸다.
김 의원은 "공적자금을 받아 생존한 은행들이 공공성을 도외시한 채 보증 대출을 늘리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서민들이 연대보증을 해줬다가 빚더미에 오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최소한 1금융권이라도 연대보증을 점차 줄여가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한편 기업은행은 지난 8월부터 연대보증인 제도를 폐지하고 대출 차주의 신용도에 따라서만 대출 여부를 결정한다고 발표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