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수도권 집중화에 반대하는 非首都圈(비수도권)의 외침이 드디어 수도권의 중심에까지 울려 퍼졌다. '균형발전 촉구 1천만인 국민대회'가 어제 오후 서울역 광장에서 열린 것이다. 참가자들은 서울 한복판까지 거리 시위를 벌이면서 이쪽의 절박한 요구를 전파했다. 대회를 주도한 비수도권 시'도지사와 출신 국회의원 등은 국회의장에게 1천120만 명이 서명한 건의서를 전달한 뒤 청와대에도 협조를 당부했다. 수도권에 유리한 여론을 조성한다는 서울의 신문'방송사들에 대해서도 항의 행동을 펼쳤다. 때맞춰 '지방분권국민운동'도 전국 14개 시민단체와 공동으로 성명을 발표, 정부와 정치권이 추진하는 수도권 규제 완화 및 신도시 개발이 수도권 일극화를 가속화시킨다며 즉각 중단을 요구했다.
국토 균형발전 요구는 오래전부터 있어 온 것이지만, 비수도권이 뭉쳐 1천 만 명 이상의 서명을 받아내고 서울 중심부로까지 진출해 시위를 한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상황이 더 심각해지고 문제가 더 절박해졌기 때문일 터이다. 비수도권 사람들은 수도권에 땅 한 뼘 사려 엄두 내기 쉽잖을 정도로 경제 기반부터 차이가 나 버렸다는 탄식이 여기저기 터져 나오고 있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소위 3류로 분류되던 서울의 대학들 성가가 비교 안 되게 높아져버린 반면, 그 전까지만 해도 지방 명문이라 치부되던 대부분의 비수도권 대학들은 '지방雜大(잡대)'라는 모욕적인 언어로 한 묶음 지어지고 있다.
때문에 노무현 정권은 이 문제의 해결을 중요한 국가적 과제로 꼽아 여러 비수도권 발전 정책을 추구하기도 했지만 작년 지방선거 뒤부터 분위기가 달라졌다. 수도권 시'도 지사들이 먼저 반격에 나서더니 이제는 수도권에 더 집중시켜야 국제적 경쟁력이 확보된다는 완전히 거꾸로 된 논리까지 횡행하고 있다.
1940년대 이후 남북으로 국토가 갈리고 1970년대 이후 동서로 지역감정이 갈리더니 이제 京鄕(경향) 간에까지 골이 생긴 꼴이다. 절대 안 될 일이다. 누가 어떤 논리를 꾸며내든, 국토가 균형 발전하는 게 나라 전체의 이익에도 부합함은 아무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수도권은 발전하되 비수도권 또한 발전해야 하는 것이다. 1천만 명 이상 서명한 뜻이 제대로 읽혀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