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식경제구역 반드시 지정" 지역 경제계 서명운동 돌입

대구상의, 업종별 협동조합, 산업단지 관리공단 등 지역 경제단체와 기업인들이 대구경북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대구상의 등 경제단체들은 6일 "대구시와 경북도가 공동으로 지역의 발전제약 요인을 극복하고 성장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교육, 의료, R&D 등 지식서비스 산업육성 중심의 지식창조형 경제자유구역은 반드시 지정돼야 한다."며 지역 기업인들의 의지를 표출하기 위해 경제자유구역 지정건의를 위한 서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각 단체들은 5인 이상 사업체를 가진 기업인과 임직원들로부터 서명을 받아 이달 중순쯤 재정경제부에 제출할 계획인데 대구상의는 상공의원을 중심으로, 기업체가 밀집한 산업단지는 관리공단의 협조를 받아 서명작업에 들어간다. 업종별 협동조합도 지역경제 회생의 제도적 장치로 추진되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서명운동에 적극 동참키로 했다.

현재 대구에는 대구상의 등 10여 개 경제단체와 70여 개 협동조합, 5개 관리공단 및 협의회, 6천900여 개의 5인 이상 사업체가 있다.

이인중 대구상의 회장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은 전국에서 가장 경제가 피폐한 지역의 경제활성화를 위한 돌파구로, 지역균형 발전측면에서도 경제자유구역과 자유무역지대가 전무한 대구·경북권에 반드시 지정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권오규 재정경제부총리는 대구권 경제자유구역 지정협조를 위한 대구시장, 경북도지사의 면담제의에 대해 '심사시기에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는 이유로 완곡히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철 대구경북연구원장은 "지식창조형 경제자유구역은 물류·비즈니스 중심의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과 명확한 역할분담을 통해 국토 동남경제권의 협력적 공간구조 형성이 가능하고 동남권 동반 발전의 획기적 계기를 가져오기 때문에 반드시 지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