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선판 '칼자루' 쥔 박근혜, 누굴 택할까?

이회창 한나라당 전 총재가 대선 출마를 선언함에 따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에게 대선 정국의 칼자루가 주어졌다.

하지만 이에 따라 대선 승리를 위해 '박근혜 카드'가 더욱 절실해진 이 후보의 끊임없는 구애에 그동안 묵묵부답으로 일관해 온 박 전 대표가 어떤 형태로든 정치행보를 결정해야 할 시기도 그만큼 일찍 다가오게 됐다.

이와 관련, 정치권은 오는 12일의 '구미'를 주목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이날 오후 구미 박정희체육관에서 당원 및 지지자 1만여 명이 참석하는 대구·경북지역 대선 필승결의대회를 연다. 이 후보 측은 박 전 대표의 참석에'올인'했다. 대구·경북 통합대회는 대체로 대구에서 열렸는데 이번에는 관례를 깨고 박정희 전 대통령의 생가가 있는 구미의 박정희체육관으로 대회 장소를 정했다. 김광원 경북선거대책위원장은 "박 전 대표를 모시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한나라당은 당초 11일 구미에서 경북대회를, 12일은 대구 전시컨벤션센터에서 대구 대회를 예정했다. 하지만 이 후보와 박 전 대표의 화합 첫단추로 12일 구미에서 통합대회를 열기로 전격 결정한 것. 이에 따라 이 후보 측은 박 전 대표에게 몇 차례 참석 여부를 타진했다. 지난 경선 때 친박(親朴·친 박근혜)에 섰던 김태환 의원은 "박 전 대표가 참석할 것으로 굳게 믿고 있다. 두 분(이 후보와 박 전 대표)이 고향에서 화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재까지 박 전 대표는 참석 여부에 대해 입을 열지 않고 있다. 정치권은 참석 가능성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직까지 이 후보가 이재오 최고위원의 2선 후퇴, 당권 보장 등 화합 분위기를 마련하지 않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박종근 대구선대위위원장은 "몇 차례 참석을 부탁했지만 묵묵부답"이라며 "당내 화합 문제가 선결과제"라고 했다. 유승민 의원 역시 "다른 지역에도 참석하지 않았는데 구미에만 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권은 박 전 대표가 대구·경북대회에 참석하지 않는 등 이 후보와의 평행선을 장기간 지속할 경우 대선 정국은 물론 대선 이후 안아야할 정치적 부담도 적잖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전 총재의 대선출마라는 돌발변수가 현실화된 데다 이 후보 측도 박 전 대표에게 계속 화해하자고 한 만큼 이젠 박 전 대표도 자신의 정치 행보를 밝혀야 할 때가 됐다는 것.

특히 대구·경북대회는 자신의 정치적 고향이자 최대 지지기반에서 열리는 당 최대행사인데다 지역구 국회의원으로서 대회 참석 자체를 무시할 입장이 아니기 때문.

한나라당 경북도당 관계자는 "박 전 대표가 대회에 올 가능성도 열려 있다. 대회에 참석해서 화합 발언을 할지, 정치적 발언 없이 행사 자체 참석에만 그칠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했다.

한편 정치권 일각에서는 박 전 대표와 이 전 총재 간의 연대설도 나오고 있다. 조재목 에이스리서치 대표는 "박 전 대표와 이 전 총재 간의 연대카드는 가능성이 낮다. 하지만 이명박 후보가 박 전 대표가'만족할 수준'의 협상 카드를 내놓지 않고, 이 후보의 지지율이 급락할 경우 박 전 대표와 이 전 총재 간 연대카드는 현실화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이종규기자 jongku@msnet.co.kr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