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세테크 살롱] 부동산 취득과 세금

부동산의 취득이란 매매, 신축, 교환, 상속, 증여 등의 방법에 의하여 대가를 지급하거나 대가 없이 부동산을 취득하는 것을 말합니다.

1. 부동산을 취득할 때 내야하는 세금

부동산을 취득하였을 때는 부동산 소재지 관할 시'군'구청에 다음의 세금을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1) 취득세, 농어촌특별세

- 부동산을 취득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해당 시'군'구청에 취득세를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 취득세를 납부할 때에는 취득세액의 10%에 해당하는 농어촌특별세를 함께 납부하여야 합니다.

- 과세표준 및 세율

취득방법취득세농어촌특별세합 계과세표준세율과세표준세율매매

(주택유상거래)취득가액2%

(1%)취득세액10%2.2%

(1.1%)신축,상속,증여취득가액2%취득세액10%2.2%

※ ( )는 주택유상거래분 취득세 50% 경감

(2) 등록세, 지방교육세

- 취득한 부동산의 소유권 이전등기를 하기 전에 해당 시'군'구청에 납부하고, 등기신청시 등록세 「영수필확인서」를 첨부하여 제출하여야 합니다.

- 등록세를 납부할 때에는 등록세액의 20%에 해당하는 지방교육세를 함께 납부하여야 합니다.

- 과세표준 및 세율

취득방법취득세농어촌특별세합 계과세표준세율과세표준세율매매

(주택유상거래)취득가액2%

(1%)등록세액20%2.4%

(1.2%)신축취득가액0.8%등록세액20%0.96%상속취득가액0.8%등록세액20%0.96%증여취득가액1.5%등록세액20%1.8%

※ ( )는 주택유상거래분 취득세 50% 경감

(3) 취득가액 산정방법

- 취득세'등록세 계산시 취득가액은 취득자가 신고한 가액으로 하되, 신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신고한 금액이 시가표준액에 미달 또는 신고가액의 표시가 없는 때에는 토지는 개별공시지가 주택은 개별(공동)주택가격 그리고 주택이외의 건물은 지방자치단체장이 결정한 가액 등(시가표준액)으로 계산합니다. 다만, 국가 또는 법인 등과의 거래로 사실상 취득가격이 입증되는 경우에는 취득가격에 의하여 계산합니다.

- 그리고 부동산을 상속받거나 증여받는 경우에는 별도로 상속세 또는 증여세를 내야 합니다.

문의 : 053)314-1134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