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 못자는 것을 이야기하기 전에 먼저 잠에 대해 알아보자. 식물이 봄여름에는 땅 위로 크다가 가을겨울이 되면 이것을 거두어 땅 밑 뿌리에 간직하며 하루 중에도 낮에는 물이 잎으로 올라가고 밤에는 뿌리로 내려오는 것이 자연의 이치이다. 일생이나 일년이나 하루나 밖으로 활동했다가 안으로 거두어 들어갔다가 하는 음양이치로 살아가는 것은 꼭 같다. 그런데 아이들은 잠이 많고 노인들은 잠이 적다. 왜냐하면 어린이들은 어머니 뱃속에서 가만히 있던 것이 습관이 되어 나와도 그대로 잘 잔다. 노인은 대개 생기가 점차 줄어들고 영양도 부족하니 조그만 무엇에도 기운이 따라가 주지 못해 안간힘이 쓰이게 된다. 그러므로 저녁이 되어 활발한 기운이 안으로 거두어 들어가야 잠을 자게 되는데 그게 잘 안되니 조금 자다가 금새 깨어나 버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잠의 원리는 기운이 좋아 잘 거두어지면 잠이 잘 들고 거둔 뒤로는 겨울 뒤에 봄이 오듯 생발력(生發力)이 왕성해지는 새벽이나 아침이 되면서 자연히 눈을 뜨고 잠이 깨는 것이다. 잠이 적다는 것은 거두는 기운이 적고 활동하는 기운이 많아서 기운이 잘 거두어지지 않는다는 말이다. 반대로 잠이 많다는 것은 활동하는 기운이 적다는 말이다.
이와 같이 불면이란 기운이 잘 거두어지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겠는데, 여기에 몇 가지가 있다. 요즘 감정중추의 흥분이란 말도 하듯이 우리 감정(七情)을 바쁘게 쓰면 잘 거두어지지 않으니 잠이 잘 안 온다. 위장이 부담스런 사람도 기운이 아래로 거두어 들어오는 것이 방해되니 잠이 잘 오지 않는다. 병을 앓은 후 든지 허약한 노인은 거둘 기운 자체가 부족하여 잠이 잘 들지 않는다.
그러므로 감정이 쉽게 동하여 기운이 뜨는 사람은 기운을 내리고, 위장에 습기가 차서 더부룩하고 얼굴이 누리무리한 사람은 습기를 말려 기운을 소통케해야 한다. 애간장을 태우는 사람은 해울소통하는 방법으로 기운을 다스리며, 기력이 약한 사람은 생기를 돋우는 방법 등을 참작해서 치료해야 하는 것이다.
이 정 호(테마한의원 원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