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공영방송, 벌써 편파보도인가

BBK 김경준 씨 주가조작 및 횡령사건이 살얼음판 정국을 연출하고 있다. 신당과 한나라당은 파급효과를 가늠하며 사생결단의 공방전을 벌이고 있다. 그 바람에 대선은 정책도, 인물도, 담론도 없는 흑색공방에 빠져들고 있다. 나라의 리더십과 윤리 부재가 여기에 이르렀는가 하는 착잡함만 깊어진다.

이런 혼돈을 정리하고, 객관적'중립적 입장에서 그 흐름을 바로잡아야 할 집단이 언론, 특히 지상파 방송이다. 그러나 벌써부터 대선 주자 관련 보도가 한쪽으로 치우치고 있다는 소리를 듣고있다. 연세대 윤영철 교수가 16일 '공영방송 발전을 위한 시민연대' 세미나에서 발표한 내용이 그것이다.

윤 교수에 따르면 KBS, MBC, SBS의 최근 한달간 저녁 메인뉴스를 분석한 결과 우려할 만한 불공정성이 노출됐다는 것이다. 유리한 보도의 경우 이명박 25건, 정동영 40건으로 1.6배, 불리한 보도는 이명박 122건, 정동영 24건으로 5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이명박 후보에게 악재가 많았다 하더라도 여권 편향이란 의혹을 사기에 충분했다. 특히 공영방송인 KBS와 MBC는 양자의 관훈클럽 토론 중 정동영 몫만 내보내고, 전체 인터뷰 시간도 이명박 472초, 정동영 641초로 차등 보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상파 특히 공영방송은 2002년 대선부터 방송윤리에 심각한 의심을 받아왔다. 김대업 씨의 거짓 증언을 집중보도하여 義人(의인)으로 부각시켰고,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때는 여당의 선전도구 노릇을 한 게 사실이다. 참여정부 집권 중 상설보도를 통해 보수언론과 보수이념을 공격하는 등 이념 편향성도 심했다. 국민 모두의 공영방송을 특정집단의 이익과 주장만 대변하는 정파방송으로 전락시킨 것이다. 현재의 대선보도를 그 연장선상으로 보아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공영방송이 바로 서지 않으면 민주주의가 바로 설 수 없다. 그것은 사회의 건전한 양식과 상식을 뒤흔들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풍조를 만들게 된다. 그 폐단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당사자들이 아직도 편파성에서 헤어나지 못한다면 방송에겐 불행이요, 국민에겐 재앙이다. 이런 방송을 하고도 중간광고를 허용하라느니, 시청료를 올려달라느니 할 염치가 있겠는가. 공영방송이 더 이상 나라 발전의 짐이 돼서는 안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