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도심개발, 환경문제 등을 이유로 미군기지 이전이 속속 이뤄지는 가운데 오히려 대구·경북에는 미군에 부지를 추가 공여하거나, 오염시설로 의심되는 기지까지 옮겨오고 있다.
특히 내년 가동 예정으로 김천시 아포역 맞은편(아포읍 국사리) 9.91㏊(3만 평) 부지에 공사 중인 미군DRMO시설은 '심각한 환경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DRMO(Defense Reutilization and Marketing Office)는 주한미군에서 사용한 군수물자를 수집, 분배, 재처리하는 시설로 '미군 폐품처리장'으로 불린다.
김동욱 대구도시공동체 사무국장은 "올초 미군 DRMO시설 용도를 알아보기 위해 일본 오키나와를 방문해 보니 기름유출, 유독 물질, 폭발물 적재 등으로 인한 지하수·토양 오염, 사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예전에 일본의 DRMO시설에서 백혈병, 암 등을 유발하는 전압기 절연체를 수년간 방치해 놓은 사실이 밝혀져 일본 전체가 떠들썩한 일도 있었다."고 했다.
김천의 DRMO시설은 인천 부평구 산곡동과 부산 부산진구 개금동에 나뉘어져 있던 기존 시설을 폐쇄하고 이를 대체하기 위해 건립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이지선 서울 녹색연합 팀장은 "주한 미군의 폐품이 김천으로 몰려들면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다."며 "일본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미군부대 안에서 이뤄지는 일이 외부에 공개되지 않고 국내법 적용도 받지 않아 위험성이 훨씬 크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 관계자는 "김천의 DRMO시설은 환경 문제를 감안해 설계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고, 김천시는 "DRMO시설 건립으로 국방부로부터 도로건설비 200억 원을 지원받는 등 지역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대구·경북지역에는 당초 20007년 말 반환 예정이던 대구 남구 A3비행장 부지 7.27㏊(2만 2천 평)의 경우 행정절차 등을 이유로 이전이 미뤄지고 있으며, 추가로 미군에 공여했거나 할 부지가 포항 33㏊(10만 평), 칠곡 10.2㏊(3만 1천 평), 대구 남구 0.72㏊(2천200평) 등이다. 박정희 대구공동체 간사는 "부산 하얄리아 부대 사례에서 보듯 전국 지자체들이 미군 부대를 이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데 반해 대구·경북에서는 오히려 미군에 자리를 내주면서 '민원'을 자초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획탐사팀=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임상준기자 zzu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