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한나라당 후보의 대통령 당선으로 기존 정부의 개발축이 서·남해안에서 동해안으로 옮겨올 것이란 기대감이 지역민들에게 고조되고 있다.
특히 동서남해안권발전특별법이 제정되면서 각종 국토 개발이 기존의 서·남해안 중심 L자형에서 새로운 동해안 시대를 여는 U자형으로 전환될 수 있는 기틀이 이미 마련돼 있어 이 당선자의 출범이 '한번 해보자.'는 동력으로 상승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것.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면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은 사업은 낙동강 프로젝트. 이 당선자가 내건 한반도대운하가 환경파괴 논란에 휘말릴 수 있어 이를 만회하기 위해서라도 친환경적인 낙동강 프로젝트를 대거 채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인 '북부권발전 3대 구상'인 '백두대간 프로젝트', '한(韓)문화 프로젝트', '그린바이오클러스터'는 각 정당들이 앞다퉈 대선공약화했기 때문에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경북도가 SOC건설 최우선 사업으로 선정한 동서6축고속국도(영덕~안동~상주~충남 서천) 조기 건설 기대감도 높다. 계획대로 할 경우 내년 6월 기본설계 후, 다시 실시설계에만 3년이 더 걸리지만 실시설계와 건설을 동시에 하는 턴키방식으로 추진하면 2년을 단축할 수 있다. 경북도는 차기정부 임기 내에 본격적인 공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를 설득한다는 방침이다.
동해안 발전과 남북종단철도 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계획한 동해중부선(포항~삼척·171㎞·예상사업비 2조 4천410억 원) 역시 신동해안시대와 남북경제협력 강화, 시베리아 철도 연결을 통한 물류혁명 달성 등을 위해 차기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해중부선은 매년 2천억 원씩 투입해도 12년이 걸리는 사업이기 때문에 정권 차원의 집중 투자가 필요하다.
포항~울산권을 쉽게 연결하기 위해 추진하다가 사실상 보류 상태인 포항~울산 고속국도(54㎞·예상사업비 1조 8천834억 원) 건설사업도 다시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남북7축도로(울산~동해)의 한 구간으로 추진되던 이 고속국도는 지난 1월 KDI 용역 때 경제성이 낮아 재검토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가 경북, 울산 등지의 반발이 거세자 일단 실시설계만 끝내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상태다. 포항, 울산 경제계는 "철강 조선 자동차의 협력 체제 구축이 우리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절대적이기 때문에 이 도로를 조속히 건설해 1시간 30분 거리를 30분으로 단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동해안해양개발 프로젝트, 울릉도·독도의 국민관광자원화 등도 정부 지원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경북도가 중점 추진하는 신성장동력 동해안에너지클러스터는 울산, 강원도가 참여하는 형태의 환동해안에너지클러스터로 커져서 국책사업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용대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지역 출신 대통령이 나왔다고 당장 달라지는 것은 없겠지만 정부를 설득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만들면 이전보다 예산 확보 등이 쉬운 측면은 분명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정암기자 jeonga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