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주요 언론사 간부 및 광고주에 대한 성향 파악 지시 파문이 계속 확산되고 있다. 이경숙 위원장의 사과와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직접 해명에도 파문은 쉽사리 가라앉을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 위원장은 15일 이와 관련, "우리 의도와 전혀 상관없이 일이 하나 발생해 정말 죄송하다."며 사과한 뒤, "언론사 동향 파악은 한 전문위원이 자기 딴에는 열심히 한다고 했는데, 새 정부가 지향하는 국정철학이나 이념, 운용 방식과는 전혀 엉뚱한 방식으로 (동향파악을)문광부에 요청한 것 같다."고 해명했다.
그는 또 "간사나 인수위원들에게 결재를 받은 적도 없고 혼자 일을 만들어 오해를 만들고, 언론에 상처를 줄 수 있는 내용이 나간 것 같다."며 "개인의 돌출 행동이지만 인수위 이름으로 나가 신뢰에 먹칠한 것은 유감"이라고 덧붙였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도 지난 13일 이와 관련, "차기 정부에서는 그런 일이 용납돼서는 안 된다."며 "진실이 밝혀졌다고 하지만 좀 더 알아봐야겠다. '옥에 티'라고 생각한다. 그런 사고를 가진 것이 잘못됐다."며 유감성 발언을 했다.
하지만 언론개혁시민연대는 이 당선인의 공개사과와 이경숙 인수위원장 사퇴를 요구했으며 이를 지시한 박광무 사회교육문화분과위원 등 관계자를 직권남용 혐의로 고발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더불어 한국기자협회와 전국언론노동조합 등 언론단체들도 이번 일을 차기 정부의 언론통제를 위한 사전작업적 차원에서 이뤄진 언론사찰이라고 규정하고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한나라당을 제외한 대통합민주신당·민주노동당·민주당·자유신당 등 정치권도 '5·6공식 언론관', '언론통제' 등 일제히 성명을 내고 강력 성토했다.
신당 우상호 대변인은 14일 "이런 5공식 언론관을 갖고 언론사 간부를 다루려 했다면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심각한 문제"라며 "언론사 간부 성향을 일일이 조사하도록 지시했다는 것은 실무자 개인이 진행할 일이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인수위가 성향파악을 요구한 언론사 간부는 중앙일간지(13개)·지역언론사(12개)·중앙방송사(9개)·지역 민간방송사(12개)의 사장·편집국장·정치부장·문화부장 등 196명이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으며 지난해 말 문광부 산하단체는 중앙일간지의 경영상황, 부대사업 등 내부동향에 대해서도 파악해 이달 초 문광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성훈기자 cdr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