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문학기행] 통제영의 고장 '통영'

고뇌 속에 살다간 인간 이순신에 감동

구마산(舊馬山)의 선창에선 좋아하는 사람이 울며 나리는 배에 올라서 오는 물길이 반날 / 갓 나는 고당은 가깝기도 하다 // 바람맛도 짭짤한 물맛도 짭짤한 // 전복에 해삼에 도미 가재미의 생선이 좋고 / 파래에 아개미에 호루기의 젓갈이 좋고 // 새벽녘의 거리엔 쾅쾅 북이 울고 / 밤새껏 바다에선 뿡뿡 배가 울고 // 자다가도 일어나 바다로 가고 싶은 곳이다(백석, 앞 부분)

새해 첫 여행지로 통영을 선택했다. '바람맛도 물맛도 짭짤'하고 '전복, 해삼, 도미, 가재미 같은 생선'도 좋고 '파래, 아개미, 호로기의 젓갈'도 맛있고 '거리엔 쾅쾅 북이 울고' '바다에선 뿡뿡 배가 우'는 곳. 정말 통영은 자다가도 일어나 바다로 가고 싶은 곳이다. 이미 몇 번 다녀온 곳이지만 통영은 여전히 나에게 꿈의 여행지이다. 사춘기 시절, 유치환의 을 읽고 통영에 꼭 가서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우체국 창가에 앉아 편지를 쓰는 풍경을 그렸다. 대학에 와서 김춘수의 을 읽으면서 3월의 바다에 내리는 눈을 바라보며 물개의 수컷이 우는 소리를 듣고 산도화에 살포시 내려앉는 눈송이를 지켜보고 싶었다. 대학 4학년 때 졸업논문을 생각하면서 백석의 에 매료되기도 했다. 박경리의 을 읽으면서 아름다운 대상이 오히려 슬플 수도 있다는 생각에 빠지기도 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통영은 나에게 멀었다.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쉽게 주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아무리 비켜가려고 해도 스치지 않고서는 지나칠 수 없는 길이 존재했던 모양이다. 그 계기를 마련한 것은 오히려 문학과는 거리가 있을 법한 이순신이었다. 민족을 누란의 위기에서 구한 구국의 영웅 이순신이 아니라 평생을 고뇌 속에서 살아간 인간 이순신에게 감동을 느끼면서 나는 그분의 흔적을 찾아다녔다. 그 흔적의 한 가운데에도 바로 통영이 있었다.

순수는 / 그저 아름다운 것이다. // 세월에 세월이 / 밀리는 기슭 // 좋아한다는 것은 / 행복한 출렁거림이다.(정영자, 전문)

통영은 바다에서 바다로 끝나는 곳이다. 비릿한 바다 내음이 곳곳에 머물러 존재한다. 바다 내음은 '소리 없는 아우성'처럼 통영 사람들의 영혼과 육신 속에서 숨을 쉰다. 세월에 세월이 밀리면서 많은 것들을 변화시켰지만 통영은 여전히 아름답다. '겨울에도 영하로 내려가는 일이 거의 없어요.'하는 시장 아주머니의 목소리에도 통영에 대한 자부심이 담겨 있다. '여기서 바라보는 통영항이 가장 명품이지요.'하는 남망산 조각공원에서 만난 공원 관리인에게도 통영 사랑이 느껴진다. 청마문학관 앞에서 사진을 찍으며 '생명을 노래한 청마의 본질은 바로 통영의 마음이기도 하지요.'라고 하던 지방 예술가의 통영 자랑도 각별했다. 김춘수 생가에서 만난 주인 아주머니, 청마거리에서 커피를 나누었던 대학생, 중앙 우체국 주차장 관리 아저씨, 박경리 생가를 찾아 골목길을 방황하다가 만났던 슈퍼 주인 아저씨, 미륵도 달아공원에서 시화를 팔고 계시던 할아버지, 충렬사, 세병관 등에서 만났던 여러 사람들. 그 모두의 마음에도 통영의 푸른 바다가 담겨 있었다.

그런데 아직도 난 가보지 못한 곳이 많다. 시조시인 김상옥과 관련된 곳, 화가 전혁림의 그림이 전시된 전혁림 미술관, 음악가 윤이상의 생가터, 통영운하의 아름다운 야경, 중앙시장의 싱싱한 바다고기 등은 아직 만나지 못했다. 그런 점에서 통영은 여전히 나에게는 미지의 땅인 셈이다. 그리움의 바다인 셈이다. 앞으로 내 문학기행의 가장 중요한 길에 자리했던 통영의 이야기를 풀어보려고 한다. 분명 무언가를 좋아한다는 것은 행복한 출렁거림이다. 이제 바다, 생명, 문학 그리고 통제영의 고장 통영으로 가 볼까?

한준희(경명여고 교사)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