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70년대에는 사극 의상이 고증조차 없이 실생활 복장보다 조금 강한 정도였지만 90년대 들어서면서 고증을 바탕으로 한 사극 의상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96년'용의 눈물'(KBS)은 처음으로 여말선초의 의복을 다뤄 눈길을 끌었다. 특히 고증으로 재현한'요선철릭'(허리에 주름이 들어간 남자 상의)이 그 무렵 실제로 유물로 출토되면서 큰 화제가 됐다. 또 금직 실크(금박이 아닌 금실로 수놓아진 실크)가 처음으로 시도되기도 했다. 2001년'명성황후'(KBS)도 자수와 금박 등으로 여성 한복의 섬세하고 아름다움을 부각시켰다.
99년 방영된'허준'(MBC)에서부터 사극 의상에 원색 대신 파스텔톤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가장 큰 화제를 모은 사극 속 한복은 단연 2006년'황진이'(KBS)의 의상이었다.'황진이'의 한복은 기녀복으로 일가를 이룬 이혜순 한복 디자이너가 전담했는데, 하지원이 입고 나온 강렬한 무늬의 붉은색을 비롯해 다양하고 화려한 의상으로 한복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호평을 들었다.'황진이'이후로 사극 속 한복은 점차 화려하고 개성을 드러내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고화질 HD TV가 일반화하면서 사극 속 한복의 소재도 달라졌다. 정혜락 계명문화대 교수는"예전에는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실키한 느낌을 살렸었는데 반해 최근에는 질감이 화면에 고스란히 드러나기 때문에 사극 한복에도 직접 실크를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세정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