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죽하면 목숨까지 끊었을까?"
올 초 경북 경산으로 시집온 베트남 신부(22)가 얼마 전 자신의 아파트 14층 베란다에서 뛰어내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 때문에 베트남 전역이 시끄럽다. 결혼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자주 베트남에 돌아가겠다고 말해 왔다는 그는 미리 비행기표까지 준비해뒀다고 한다. 이 소식을 접한 이들은 "얼마나 힘들었으면…"이라고 어린 신부를 애도했다.
5년 전 동남아에서 시집온 A씨. 시어머니와 남편으로부터 "먹을 것도 없는 못 사는 나라에서 온 주제에…"라며 자신을 미개인 취급할 때가 가장 서럽다고 했다. 그는 "부모님이 너무나 보고 싶어 고향에 국제전화를 몇 번 했는데 시어머니에게 전화요금이 많이 나왔다고 엄청 구박받았다"며 눈물을 글썽였다.
상당수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에서의 결혼 생활을 힘들어한다. 무시당하고 차별받기 일쑤다. 남편에게 폭행당해 죽고 스스로 생명의 끈을 놓는 경우도 있다.
◆가족과 사회의 멸시
"시집올 때 돈을 3천만 원이나 줬는데, 애 못 낳는다는 게 말이 되느냐?"
김모 할머니는 필리핀 며느리가 영 마음에 들지 않았다. 며느리에게 구박 세례를 퍼붓기 일쑤였다. 견디다 못한 며느리는 우울증과 정신분열 증상까지 보였다. 하지만 할머니는 아랑곳하지 않았다. 그는 "다시는 한국에 돌아오지 않겠다"는 말만 남긴 채 고국으로 돌아갔다. 얼마 전 구미에서 일어난 사례이다.
사랑으로 보듬어줘야 할 가족들이 도리어 결혼이주여성들의 가슴에 비수를 꽂는 경우가 많다. 2년 전 베트남에서 경북 상주로 시집온 결혼이주여성 C(24) 씨는 한시도 마음 편할 날이 없다고 했다. "남편이 매일 술을 먹고 들어와서는 무섭게 한다"며 눈물을 훔쳤다.
5년 전 베트남에서 시집온 D씨. "한국사람들은 우리 아이들을 보고 가장 먼저 '와! 똑같네'라고 해요. 동물 구경하듯 신기하다며 쳐다봐요." 그는 "그때마다 마음이 너무 아프다"고 하소연했다. 결혼이주여성 E씨는 택시타기가 겁난다고 했다. "외국인을 첫 손님으로 받으면 재수없다는 택시기사 분이 얼마나 미웠는지 몰라요." 이날 아이를 등에 업은 그녀는 한참 동안 길거리를 헤매야 했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의 국가 간 경쟁력 보고서는 한국인들의 문화적 폐쇄성을 세계 49개국 중 44위권에 올려놓았다. 구미 YMCA 관계자는 "일부 결혼이주여성들은 가정에서 고부갈등은 물론, 남편의 잦은 폭력에 시달리다 가출·가정붕괴 등으로 이어져 심각한 사회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했다.
◆죽음으로 내몰리기도…
지난해 11월 중국에서 시집온 김모 씨는 스스로 삶의 끈을 놓았다. 남편의 잦은 폭행과 시어머니의 구박에 견디다 못한 그녀는 죽음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한국땅을 밟은 지 꼭 4개월 만이다. 그녀를 보살폈던 결혼이주여성지원센터 한 관계자는 "한번은 남편한테 맞아 코뼈가 부러졌다며 찾아왔는데 얼굴이 말이 아니었다"며 "한 달 동안 그를 보호해 줬는데도 결국 죽음을 택했다"고 했다.
몇 해 전 대구 달성군의 한 아파트에서는 한 결혼이주여성이 남편이 출근한 사이 결혼 생활을 견디다 못해 아파트에서 탈출하려다 떨어져 숨졌다. 아파트 9층 발코니에 커튼을 묶어 타고 내려오다 떨어져 숨진 충격적인 사건을 두고 한국은 물론, 베트남 현지까지 떠들썩했다.
◆언제든지 떠나겠다.
대구 달성군의 한 공단에서 일하는 결혼이주여성 F씨는 일부러 국적을 받지 않았다. 10년 전 네팔에서 시집와 한국문화에 익숙하다는 그였지만 언제라도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다. 만날 술만 먹고 들어와 때리는 남편도 밉지만 학교에서 따돌림당하는 아이들이 크면 한국사회의 구성원이 제대로 될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도네시아에서 경북 김천으로 시집온 G씨는 "가정을 돌보지 않는 남편을 바라보고 살 수 없다. 초등학교 2학년인 아이만 데리고 인도네시아로 돌아가려고 한국국적을 따지 않았다"고 했다.
네팔에서 시집온 H씨도 얼마 후 본국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딸아이가 조금 더 크면 그때 돌아갈 겁니다" 경주 지역으로 시집 온 결혼이주여성 516명 중 30% 정도가 가출 등으로 현재 거주하지 않고 있다. 경주시 관계자는 "이들은 결혼 후 혼자 경주를 벗어나 다른 지역에 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고 했다. 선진국을 바라본다고 하지만 국민 의식은 아직도 후진국 수준이라고 하면 심한 말일까.
임상준기자 zzuny@msnet.co.kr
사진·이채근기자 minch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