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변하고 있다] (상)투자유치 급증

돈 들어오고 새 일자리 생기고…"할 수 있다"

대구 거리에 희망과 자신감이 넘쳐나고 있다. 불과 한 해 전과 비교해도 전혀 다른 모습이다. 삶이 빠듯한 서민들도 "이제는 더 나아지지 않겠느냐"는 희망을 이야기한다.

"한때는 내가 왜 대구로 와서 이렇게 살아야 하냐고 체념을 한 적도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 들어 생각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이제는 뭔가 할 수 있겠구나, 아니 뭔가를 반드시 해내야 한다는 자신감과 책임감이 생겼습니다."

고시 출신 젊은 대구시 공무원의 말 속에 바뀐 대구의 모습이 함축적으로 담겨 있다.

이런 변화에 대해 어떤 이는 새로 출범할 이명박 정부에 대한 지역민의 기대감을 반영한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단순한 기대감을 넘어 대구시민이 갖게 된 '자신감'은 대구 스스로의 노력으로 일궈낸 것이라는 점 또한 부인할 수 없다.

"대구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의 배경에는 지난해 중순부터 본격화된 잇따른 기업유치 성공이라는 가시적 성과가 있다. 또 성공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분석에도 불구하고 대구시와 경북도, 정치권, 언론, 경제계, 시민들이 똘똘 뭉쳐 이뤄낸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은 그동안 잊혔던 지역사회의 저력을 시도민 스스로에게 확인시키는 계기가 됐다.

2007년 한 해 동안 대구가 유치에 성공한 외국인투자기업은 SHEC(기계장비), REC(태양광발전업), ESTAM(의료제조 및 판매), TECSAN(건설기계 부품) 등 4곳.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간 유치한 외국인투자기업이 3곳뿐이었다는 것과 비교하면 괄목할 만한 성과다.

지난해 국내 역외기업의 대구 유치 성적도 합격점을 넘었다. 2005년과 2006년 각각 2곳이었던 국내 역외기업의 대구 유치 실적은 지난해 12곳으로 크게 늘어났다.

새해 들어 한 달이 겨우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재계 20위권의 STX그룹과 세계 최대 모바일기업 노키아의 협력사인 (주)GMS, 자동차 소음방지 분야 세계 선두주자인 리히터사, 롯데쇼핑 명품 아울렛 신축 등 국내외 굴지의 기업들이 대구 투자를 앞다퉈 발표했다. 대구에 대한 투자자들의 긍정적 관심이 갈수록 가속도가 붙는 양상이다.

산업용지를 바라보는 대구시의 시각도 크게 변했다. 시의 산업단지 계획과 구상 중에 제3공단과 서대구공단 등 도심 노후공단의 재정비와 더불어 눈길을 끄는 것이 '대구경북공동산업단지' 조성방안이다. 대구경제를 지탱해줄 제조업 기반의 상당 부분은 기본적으로 경북지역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인식을 분명히 가진 것이다.

이 같은 변화는 지식창조형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구미-대구-경산-영천으로 연결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은 경북 및 대구외곽 지역의 제조기반과 대구도심의 교육, 의료 및 지식기반 창조산업을 연계시키는 방향으로 구상돼 있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의 범위를 포항과 경주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것도, 이미 경북동해안에 존해하고 있는 철강·바이오산업 등의 기반과 향후 구축될 에너지관련 산업 기반을 함께 묶음으로써 더욱 경쟁력 있는 경제자유구역을 형성해 대구와 경북 모두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는 경북 고령군 다산면 일대에 330만6천㎡(약 100만평) 규모의 대구경북공동산업단지를 시·도 공동시행 또는 제3섹터 방식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경북도 역시 공동산업단지 조성에 대해 원칙적으로 뜻을 같이하고 있다. 다만 공동산업단지 위치와 관련해 대구시는 시 인접지역을, 경북도는 대구시 경계와 좀 떨어진 대구권 지역을 선호하고 있어 의견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 전문가들은 대구경북연구원의 공동산업단지 입지 관련 여론조사에서 제1후보지로 칠곡군 왜관읍을, 2후보지로 영천시, 3후보지로 경산시를 꼽았다.

한때 주거지로 용도변경을 모색하다 방향을 새로 잡은 대구도심공단 재정비 사업은 시도 공동산업단지 조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대구는 지식창출 기능을 바탕으로 새로운 벤처기업을 육성, 대구경제권을 활성화시키는 촉매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런데 지식창조형 벤처기업은 우수 인력확보를 위해 뛰어난 입지를 필요로 한다. 결국 대구도심산업단지에서 소규모 고부가가치 벤처기업을 키운 뒤, 기업이 더 크게 성장해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할 때 대구경북권 산업단지로 이전시키는 생태환경이 갖추어져야 시도 상생의 메커니즘이 완성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이승대 대구시 산업입지팀장은 "산업단지 조성은 대구경북 경제통합의 기본 인프라가 되는 만큼, 지속적인 상호협의를 통해 합의점을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석민기자 sukmin@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