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 공심위가 뭐길래…끊임없는 논란 이유는?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원들의 계파별 성향이 도마 위에 올랐다. 특정 계파에 치우쳐 편중된 칼질을 한다는 지적이 공개적으로 제기된 것이다. 공심위를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뭘까.

◆공심위원은 하수인(?)=한나라당은 공천심사위원회 구성 단계부터 한바탕 소란을 겪었다. 공심위를 이끌 위원장을 계파색이 짙은 인사로 임명하려다가 논란이 일자 중립 성향으로 평가받는 안강민 국민검증위원장으로 대체했다. 하지만 공심위원을 선임하면서 다시 한 번 '친이' 측과 '친박' 측은 '자신들의 몫으로 몇 %가 채워져야 한다'며 기싸움을 벌였다. 이는 공심위 내부에 파벌이 형성되는 단초를 제공했다.

현재 공심위는 안 위원장을 포함, 강창희·이방호·이종구·임해규·김애실 등 5명의 현역 의원과 강혜련·이은재·강정혜 등 교수 출신, 김영래·양병민 등 시민·이익단체 출신 등이 반분하고 있다. 이 가운데 이방호 사무총장과 임해규, 김애실 의원, 강혜련 교수 등이 '친이' 성향, 강창희 인재영입위원장과 강정혜 교수 등은 '친박' 성향으로 분류되고 있다. 나머지 인사들은 중립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강재섭 대표 등 지도부가 문제삼은 것은 친이 측의 L의원, 친박 측의 K의원 등의 최근 언행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L의원은 최근 안양 동안갑에 공천신청한 송영선 의원(비례)이 탈락한 것으로 기자들에게 귀띔해줘 송 의원이 거세게 항의하는 등 소동을 빚었고 K의원은 공심위에서 일관되게 계파적 시각으로 심사활동을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보기에 따라 달라=임해규 위원은 4일 "공천 신청자를 평가하면서 불만이 없게 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를테면 기초단체장이 사퇴를 하고 총선에 출마할 경우 이에 대한 평가를 수치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보궐선거로 인한 사회적 추가 비용, 지역민과의 약속 불이행 등에 대해 수치화를 시도하는 것이 어렵기도 하거니와 단체장이 아닌 공천신청자에게 적용하는 것도 맞지 않다는 설명이다.

이번 총선에서 한나라당은 ▷당선 가능성 ▷당 기여도 ▷도덕성 ▷전문성 등을 공천 기준으로 내세우고 있으나 이를 통해 후보자를 결정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공심위 주변의 중론이다. 당선 가능성이야 여론조사를 근거해 수치화하더라도 나머지는 객관적인 평가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당 기여도는 맡은 자리에 따라 달라지고, 전문성은 평가자의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