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새 정부, 뛰는 물가부터 주저앉혀라

물가가 너무 빨리, 너무 많이 오르고 있다. 대구 경북지역 소비자 물가는 4개월째 3%대의 상승률을 보이며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장바구니 물가도 지속적으로 4~5%대의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정권교체기, 구 정부가 손을 놓고 있는 사이 물가는 이미 오를 대로 올랐지만 새 정부 들어서도 끝은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달 대구시내 행정수수료가 19.5% 올랐고 대구시가 인상폭을 조절하는 도시가스 요금도 8.7%, 상수도 요금도 8.5% 인상됐다. 두달 전 4천원 선이던 CJ 밀가루(3kg)는 5천원이고 남양유업 맛있는 우유는 1천750원에서 1천850원으로 올랐다. 3천원 전후이던 자장면은 이제 4천원 선이다. 월급은 오르지 않고 물가만 오른다는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서민들은 자고 나면 오르는 물가에 '허리띠를 졸라매도 감당하기 힘들다'며 하소연이다.

어제 열린 이명박 정부의 첫 국무회의는 대부분의 시간을 서민 물가대책에 집중했다. 그만큼 물가가 불안하다는 방증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서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민생과 관련한 장바구니 물가를 잡으라'고 했다. 또 '공공요금을 억제토록 하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제안도 내놨다. 정부는 유류세 10% 인하, 출퇴근 통행요금 최대 50% 할인 등의 '서민 생활 안정'과 관련한 대책을 마련했다.

물가 불안으로 내수가 침체에 빠지면 당장 올해 6% 경제성장률 목표달성이 어려워진다. 게다가 국제 유가와 국제 곡물가 폭등 현상도 좀처럼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자칫하면 경제 살리기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 이 정권이 첫 단추부터 꿰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새 정부의 물가 잡기는 과거와 달라야 한다. 끊임없는 민생 현장 점검을 통해 물가 목표 달성을 이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