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대중교통 활성화가 먼저다

대구시가 내년부터 민간영역에까지 확대 실시키로 한 자가용 승용차 요일제가 탄력을 받게 됐다. 대구 시민들의 승용차 요일제 시행에 대한 반응이 대단히 우호적으로 나타난 것이다. 대구시 자체 조사이긴 하나 최근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79.4%가 찬성했고 68.9%는 직접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한다. 현재 공공기관에만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승용차 요일제를 확대하기 위한 공감대는 형성되고 있는 셈이다.

대구시의 승용차 요일제 확대 실시는 장기적인 도시 교통정책의 현실적 고육책으로 보인다. 도로 1% 늘리는 데는 2천억원이라는 예산이 소요되니 차량 운행을 줄이는 것이 사회적 경제적 비용을 줄이는 것이라 판단한 듯하다. 시는 내년에는 3만대, 목표연도인 2011년까지 6만대의 승용차 이용을 줄이고 대신 대중교통 이용객을 16만명 늘린다는 계산이다.

이명박 대통령도 "공직자들이 출퇴근 외의 시간에 주차장에 차를 세워 두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힘을 실어 줬다. 이 대통령은 자신의 기업 시절을 예로 들어가며 차량 풀제 이용과 대중교통 이용을 강조했다.

시민들의 승용차 요일제 찬성 이유에는 연일 기록을 경신하고 있는 기름값 인상 탓도 있을 것이다. 또 시행 2년이 지나면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시내버스 준공영제도 승용차 요일제 확대 여론에 우군이 되고 있다. 종전 하루 82만명이던 대중교통 이용자가 환승 혜택을 주는 준공영제시행으로 지난해 연말 120만명이나 됐다. 대중교통이 활성화되면 승용차 상당수가 줄어들 것으로 예측케 하는 통계다.

대구시는 여론 조사에만 기대 승용차 요일제를 밀어붙이기 전에 참여자에게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대중교통에의 접근성을 더욱 높이는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 시민들이 즐겁게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적극적 유인책을 계속 연구해야 할 때다.

버스전용차로 확보와 불법주차에 대한 단속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시민들을 화나게 만드는 시내버스 배차 시간도 지켜져야 한다. 교통유발부담금 부과대상 시설의 13%만이 승용차 요일제에 참여하고 있는 것도 반성해야 할 대목이다. 시민들의 버스 이용 만족도가 준공영제 시행으로 50% 이상 좋아졌다는 자체 조사에 대구시가 자만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