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론조사 조작" 한나라 곳곳 논란

주로 親李 내정설 지역

한나라당의 4·9총선 후보자의 영남권 공천심사를 앞두고 공천심사의 최대 변수인 여론조사의 공정성 논란이 거세게 일고 있다. 특정인을 밀어주기 위해 여론조사 결과를 조작, 구색 갖추기식 심사를 벌이고 있다는 주장이다. 논란이 제기된 곳은 하나같이 친이 성향 인사들의 공천내정설이 나돌고 있는 곳이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 공천심사는 전국 곳곳에서 공정성과 투명성 논란을 빚고 있다.

공심위의 공천 심사의 주요 잣대의 하나인 여론조사가 조작됐다는 의혹은 주로 경북 지역에서 일었다. 영양·영덕·봉화·울진의 남효채 전 경북부지사는 최근 1차 여론조사 결과 자신의 지지율이 실제보다 10%가량 축소조작돼 공심위에 보고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이 지역 여론조사를 맡은 기관은 R사와 K사 두 곳인데 공심위에 전달된 K사의 여론조사 결과를 지인을 통해 확인한 원본과 대조한 결과 자신의 지지도가 25%에서 15%로 축소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앙에 줄을 단 낙하산 후보에게 공천을 주기 위해 오랫동안 지역에 공을 들여온 나를 탈락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조작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안동에서도 이와 같은 주장이 제기됐다. 2차 공천심사에서 탈락한 김상돈 전 박근혜 전 대표의 경선특보는 "안동 지역 여론조사를 맡은 두 전문기관의 조사결과를 합해 보니 나만 평가절하돼서 보고된 것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 주말 공심위에 재심을 청구했다.

공심위를 믿지 못하겠다며 재심을 청구한 사례는 부산·경남에도 있다. 부산 진을의 김종상 후보는 최근 당에 제출한 공천 재심 청구서를 통해 "특정 계파 인사에 공천을 주기 위해 무리하게 2배수로 압축했다"고 주장했다. 지역 현역의원과 친이 측 한 후보와 자신이 3배수로 박빙의 승부를 벌이고 있었는데 특별한 이유없이 자신만 탈락됐다는 것이다. 그는 "2분간의 면접으로 선량(選良)을 뽑는 것도 문제지만, 미리 짜고 공천하는 것은 더 중대한 범죄행위"라고 공심위를 비난했다.

한편 경남 남해·하동에서는 박희태 전 국회부의장과 경합을 벌이던 하영제 전 남해군수가 산림청장에 임명된 것과 관련, 특정인의 공천 내정을 위한 불공정 인사라는 지적도 일고 있다. 박 전 부의장과 하 청장이 최근 KBS의 여론조사결과 5%내의 범위에서 접전을 벌인 것으로 나타나 이 같은 의혹을 뒷받침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