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11일 대구경북 등 영남권 공천자를 최종 심사한다. 지역에서 바라는 '민심공천'을 할지, 당내 이해관계에 매몰돼 지역 정서와 동떨어진 계파·표적 공천을 할지가 가려진다. 이와 관련 대구시와 경북도, 지방의회 등도 한나라당에 지역민심을 반영한 공천을 해주기를 강력히 요구하고 나섰다. 한나라당이 지역 사정을 잘 알면서 참신하고 능력있는 인물을 뽑아달라는 지역 민심과는 달리 대구경북을 표적공천, 계파공천의 장으로 변질시키려는 움직임을 막기 위한 것.
◆대구시와 경북도=이명박 정부 출범과 동시에 소위 '잃어버린 15년'을 되찾고 대구경북의 미래 성장동력을 찾기 위해 의욕에 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대구시가 추진중인 대표적인 프로젝트는 2011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지식경제자유구역 조성, 990만㎡ 규모의 첨단국가산업단지 조성, 3공단 등 노후공단 리모델링 사업, 동대구 역세권 개발 등을 꼽을 수 있다. 경북도 동해안 에너지 클러스터 조성, 구미·칠곡의 첨단 IT산업 단지 조성, 낙동강 운하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대규모 물류 기지 조성 등을 계획 중이다. 여기에 교육 특구, 건강 특구, 신재생 에너지 특구 등 매머드급 국가 사업의 대구·경북 유치 전쟁도 벌여야 할 상황이다. 이들 사업은 대규모 예산 확보가 선행되어야 추진이 가능하다. 결국 예산을 누가 어떻게 따낼 것인가가 총선을 앞둔 지역의 최대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지역 일꾼론'이 시·도 공무원 사회에서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그 일꾼은 지역 사정과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대형 프로젝트에 대한 해박한 전문지식과 예산 확보 능력까지 갖춘 인물이어야 한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다. 한나라당의 4·9총선 공천 잣대도 바로 여기에 맞춰져야 한다는 것이 대구시와 경북도의 시각이다.
시 공무원들은 "대구경북은 환골탈태의 출발선에 서 있다. 이러한 중대한 시기에 지역 실정을 모르는 인물이 국회의원이 될 경우 대구경북의 미래를 기대할 수 없다"며 "대구경북이 더 이상 정치인들의 출세의 발판으로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지방의회=최근 대구 중·남구의 시의원들은 고심 끝에 당에 항의 의사를 전달했다. 한나라당이 중·남구 예비후보를 배제하고 출향 인사를 낙하산식 전략 공천한다는 얘기가 끊이지 않자 전략공천 반대 의사를 당 대표와 공심위 측에 전달한 것. 한나라당 공천을 받아 광역의원에 당선돼 처신이 그리 자유롭지 못하지만 더 이상 중·남구가 깃대만 꽂으면 당선되는 지역으로 전락해선 안 된다는 지역 민심 때문. 한 시의원은 "중·남구는 대구의 얼굴이지만 총선 때마다 한나라당은 전략공천을 했고, 그 인물이 당선됐다"며 "이제 전략은 중앙당이나 특정인사를 위한 전략이 되어서는 안 되고 오직 중·남구를 위한 전략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10일 지역 한나라당 핵심 관계자들은 시내에서 긴급 모임을 가졌다. 중앙당의 일방통행식 공천을 그냥 바라보고 있을 수만 없다는 절박한 심경이 2시간의 모임 내내 이어진 이 자리는 중앙당의 밀실공천을 막아야 한다는 성토장이 됐다.
한 참석자는 "지역 국회의원을 뽑는 총선에서 지역 사정을 잘 아는 인사가 공천되는 것은 당연지사이다"며 "중앙당 공천에서 지역 당원들의 의사가 완전 단절된 상황에서 어떻게 지역 민심이 반영된 공천이 되겠느냐"고 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인물과 능력이라는 공천 잣대는 사라지고, 자기사람 심기가 판을 치는 계파 공천에 울분을 느낀다. 중앙당이 대구경북 민심, 지역 당원들의 의사를 무시한 공천을 강행할 경우 이번 총선 승리를 위한 선거운동에 나서야 할지 심각하게 고민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11일 중앙당에 민심 공천을 해달라는 의사를 전달키로 했다.
이종규기자 jongk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