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와 접해 있지 않은 내륙도시 안동에 간고등어와 함께 전국적인 유명세를 타고 있는 수산물이 하나 더 있다. '안동 문어(文魚)'가 바로 그것. 안동 문어를 찾는 이들은 이 지역 출신으로 안동 문어 맛을 본 사람들이 대부분이지만 요즘에는 입소문을 타고 전국에서 주문이 끊이지 않고 있다.
현재 안동에서 유통되는 문어의 양은 연간 400여t. 우리나라 연간 문어 어획량 5천여t 중 살아 있는 상태에서 거래되는 문어 1천200t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정도다. 문어를 취급하는 곳만 중앙신시장 12개 업소를 비롯해 구시장 2개 업소, 용상동 수협 등 모두 15곳에 이른다.
안동 문어가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예나 지금이나 안동 지역에서는 결혼이나 상례, 제사 등 관혼상제는 물론 각종 모임, 행사 등의 접빈 음식에 문어가 빠지지 않기 때문. 다른 음식은 부족하고 예의에 맞지 않게 나와도 문어만 나오면 음식을 잘했다는 평을 얻을 정도다. 또 문어의 문은 글월 문(文)자로 문어의 한자음이 글, 즉 학문을 뜻해 문어를 양반 고기로 일컫기도 하며 문어가 학문을 숭상하는 이 지역 정신세계를 잘 대변한다는 이야기도 있다.
무엇보다 안동 문어가 인기를 얻고 있는 이유는 쫄깃쫄깃한 맛에 있다. 포항과 후포, 강원도 등지에서 산 문어로 들여와 수족관에 보관하고 있다가 주문 즉시 데쳐 내놓아 신선도를 유지해 특유의 쫄깃한 맛이 살아 있다.
중앙신시장에서 10여년간 문어를 팔아온 남한진(44)씨는 "살아 있는 문어를 육수와 불 온도, 시간 등을 정확히 맞추는 비법으로 문어를 삶아내고 있다"며 "문어는 다량의 비타민과 타우린을 함유해 웰빙 음식으로도 인기가 높아 주문량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안동·최재수기자 bio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