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어제 대구 국가과학산업단지를 조기에 지정하도록 관계부처가 계획을 세우라고 지시했다. 대구국가산업단지 조성은 이번 대선에서 70% 안팎의 최대 득표율을 보여준 대구'경북지역에 대한 이 대통령의 핵심 공약이다. 이 대통령은 후보시절 '대운하 사업을 통해 물길을 열고, 신공항을 통해 하늘길을 열며, 대규모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경제 활로를 연다'는 대구 경제 살리기 핵심 구상을 밝힌 바 있다. 대통령의 이번 조치는 이 같은 핵심공약에 대한 이행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높이 살 만하다.
대구는 10여년째 1인당 GRDP(지역내 총생산)가 전국 꼴찌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역내 총생산은 부산(48조원), 인천(41조원)에 턱없이 부족한 28조원에 머물고 있다. 그마저 서비스 산업이 67.2%를 차지하고 제조업 비중은 21.7%로 지극히 낮다. 대구 인구는 250만명으로 전국의 5.1%를 차지하지만 생산비중은 3.3%에 불과하다.
이 모든 것을 국가산업단지가 없는 탓으로 돌릴 수는 없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대구는 전국 16개 광역시'도 중 국가산업단지가 없는 유일한 도시다. 전국적으로 31개의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돼 있거나 조성 중이지만 유독 대구에는 없다. 대구 시민들이 유달리 국가산업단지에 집착하는 이유다.
국가산업단지 조성에는 수조원의 돈이 든다. 열악한 재정에 시달리는 지방자치단체로서는 이런 대규모 공단조성은 꿈도 꾸지 못한다. 대구에는 대기업을 유치할 공간마저 없다. 여러 지방산업단지를 조성했지만 지표상 지방공단의 효과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대통령의 지시가 새 정부의 산업단지 조성기간 단축 의지와 맞물려 빠른 시일 내 실현되기를 지역민들은 鶴首苦待(학수고대)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