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 非한나라당 인물난 속 총선체제 돌입

"이래서 한나라 싹쓸이 막겠나"

한나라당 공천결과를 지켜보며 4·9총선 후보자 공천을 미뤄왔던 통합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등 지역내 비(非)한나라당도 공천 신청을 마무리짓고 본격적인 총선체제를 갖추기 시작했다.

그러나 민주당의 경우 영남권 공천신청이 저조해 사실상 영남권은 포기한 것이 아니냐는 당 안팎의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총선을 20일 남겨둔 현재 전체 지역구 중 공천 신청자가 한사람도 없는 지역 72곳, 단독신청 지역 64곳의 80% 이상이 영남지역에 몰려있다. 지난 17대 총선 때만 해도 대부분 지역에 후보를 냈으나, 이번에는 공천 신청자가 대구경북 27개를 비롯해 영남권 68개 선거구에 불과 10명만 공천신청을 했다.

20일 통합민주당 최고위원회는 이들 중 박형룡 전 박찬석 의원 보좌관(대구 중·남구), 박진홍 전 서구의원(대구 서구), 박현상 전 민주당 청년위원장(대구 동갑) 등 3명에 대해 공천을 확정했다. 당초 대구 중·남구에 공천신청을 낸 황두연 통일부 통일교육위원, 이승천 한국법학회 부회장(대구 동을), 표병관 국제로타리 3700지구 사무총장(달성) 등에 대해서는 공천을 보류했다. 경북지역에서는 포항 남·울릉에 허대만 전 포항시의원, 포항 북구에 오중기 전 영남대 총동창회 상임이사 등을 일찌감치 공천했다.

이런 가운데 그나마 본선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는 명망가 그룹들 대부분이 지역구 대신 비례대표를 선택, 너무 안이한 길만 택한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민주당 비례대표를 신청한 대구경북지역 인사로는 윤덕홍 전 교육부총리, 권기홍 전 노동부장관, 신국환 의원(전 산자부장관), 김태일 영남대 교수(전 대구시당 위원장), 임대윤 전 대구 동구청장 등이 있다. 이강철 전 청와대 정무특보, 김병준 전 청와대 정책기획위원장, 이재용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전 환경부 장관) 등은 지역구, 비례대표 어느 쪽도 선택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대구시당 한 관계자는 "이러니 어떻게 한나라당 싹쓸이를 막을 수 있겠느냐"며 "앞으로 여당이 아무리 실정을 해도 지역에서 민주당에 반사이익은 오지 않을 것"이라고 일침을 놨다. 또 한 당직자는 "몸을 던져 망한 집안을 살릴 생각은 않고 염치없이 남은 재산만 챙기려는 것 같아 씁쓸하다"고 말했다.

비례대표 공천 결과는 오는 22일 발표될 예정이다. 이번 총선에서 비례대표 당선 안정권을 15석 정도로 예상하고 있는 통합민주당은 지역안배를 고려하여 대구경북 출신인사를 당선 안정권에 우선 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자유선진당도 대구 중·남구에 곽성문 국회의원, 동을에 정동희 실천연대 대표, 북갑에 구본항 전 대구시의원, 달서을에 박영린 계명대 겸임교수를 공천자로 내정했다. 경북지역에선 구미을에 임경만 전 구미시의원이 내정됐다.

민주노총 대구본부도 19일 노윤조 금속노조 대구지부 산도브레이크·고경산업 지회장을 달성군 출마자로 확정했다.

최창희·권성훈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