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인구가 크게 늘면서 농촌지역에 새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경북도의 경우 지난해 '도 농정대상' 수상자 10명 중 귀농자가 4명이나 됐다.
◆귀농, 1.6배 늘었다=31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귀농가구는 626가구로 2006년 378가구보다 160% 증가했다. 표 참조
자치단체별로는 봉화(101가구) 상주(93가구) 예천(79가구) 의성(51가구)에서 50가구 이상 늘었다. 연령별로는 40~50대가 391가구(62%)로 가장 많은 가운데 60세 이상이 136가구, 39세 이하가 99가구 순이었다.
작목별로는 경종(耕種·논밭재배) 분야가 344가구(55%)로 가장 많았고 과수 143가구, 원예 42가구, 축산 38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 영농 때문에 귀농했다는 이가 481가구(77%)로 대다수였으나 부모 봉양 등을 꼽은 귀농자도 있었다.
경북 도내 귀농가구는 전국에서도 가장 많다.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990년부터 2006년까지 경북 귀농 가구수는 5천302가구로 전국 2만5천697가구의 20.6%를 차지했다. 경남과 전남이 각각 4천336가구(16.8%)와 4천97가구(15.9%)로 2, 3위를 기록했다.
◆적극적 지원정책이 귀농자 모은다=영농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데다 조기 퇴직·농촌에 대한 향수 등으로 40~50대 중장년층 귀농자가 늘어난 것이 중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또 자치단체들의 인구증가 노력과 농지 및 농가주택 구입이나 임차가 쉬워진 점 등도 빼놓을 수 없는 이유.
아울러 경북도의 경우 과수·축산 등 고소득 영농분야가 다양하고 친환경농업에 대한 투자가 느는 것도 한 요인으로 풀이되고 있다.
지난해 전국 최초의 'FTA 농축산대책과' 도지사 직속 'FTA대책특별위원회' '농민사관학교' 설치, FTA대책기금 2천억원 조성 등에 나섰던 경북도는 앞으로 귀농자 지원책을 더 늘린다는 계획.
타 시도에서 경북으로 오는 귀농자에 대한 자금 지원, 교육과정 확대 개편, 전원생활 박람회 개최 등이 그것이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현상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농촌 현실에서 귀농자 증가는 미래 농업인력 확보 차원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며 "귀농 교육프로그램의 정예화·다양화, 귀농 정보안내 활성화 등 다양한 귀농정책을 펼쳐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