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地域 발전전략 中央 채택에 올인할 때

김관용 경북지사가 어제 총리실 및 중앙정부 4개 주요 연관 부처를 한바퀴 돌았다. 대통령 공약사업에 포함시키는 등 애써온 주요 경북 발전전략의 실현을 촉진하기 위해서다. 성과도 괜찮아 보인다. 국토해양부 장관에게서는 고속철의 포항 연결 운행 및 구미5공단 조성 요구가 중앙정부에 사실상 수용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한다.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마필산업 육성 등 경북의 새 성장정책에 대한 지원 약속을 하고, 총리로부터는 낙동강 프로젝트 및 동해안 에너지 클러스터 구상에 대한 공감을 얻어냈다고 했다.

잘한 일이다. 지역발전 비전들이 새 정권 투자 순위에서 앞자리에 들도록 하는 게 무엇보다 급한 정권 초기이기 때문이다. 새 대통령 임기가 5년에 불과한 점을 생각하면 지금조차 결코 빠른 발걸음이라고 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그런데도 국회의원 선거운동 기간에 들면서 지역 현안들은 오히려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정파 간 경쟁이 주가 되다 보니 민생과 지역발전은 관심거리조차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은 정치권에 변화가 없는 한 앞으로도 더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지방정부 차원의 노력이 더 긴요해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이다.

새 정권의 진로가 지역에 바람직하지 않은 쪽으로 고착돼 버리기 전에 이쪽 요구의 중앙정부 정책화에 전력 투구해야 한다. 대통령 공약사업으로 채택됐다거나 정부 검토 대상에 올랐다는 사실만으로 안심해서는 안 될 일이다. 거의 대부분 발전전략을 중앙정부의 부담이나 지원에 기대어 수립해 놓고는 실현 단계를 소홀히 한다면 차라리 안 하기만 못할 수도 있다. 다음달이면 내년 국가 사업 수요를 조사하고 결정하는 시기도 닥친다. 그때 가서 발을 동동거리는 모습이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