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수원 경주 도심 이전 논란 재점화 왜?

"외딴 곳에 파급효과 있겠나"

한수원 본사의 경주 도심권 이전 주장은 실익면에서 거론된다. 우선 경제성이다. 외딴 곳에 한수원 본사만 달랑 있을 경우 경주에 무슨 파급효과가 있겠느냐는 것이 논란의 근거다. 특히 장항리는 경주 도심보다 울산이 훨씬 가깝다. 실제 울산시는 장항리 한수원 본사 기능 흡수를 위해 경주 양남에서 5분 거리에 대규모 시가지를 조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경주에서는 '죽 쑤어서 남 주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꾸준히 나돌았다. 그러나 공론화하지는 못했다. 수개월간 시위를 하며 이를 유치한 당사자인 동경주 주민들이 꿈적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7일 기자회견은 그런 면에서 물꼬를 텄다고 할 수 있다.

시내권 이전을 공론화한 한기복 국책사업양북추진위원장 등 동경주 대표들도 이날 "더이상의 자존심은 필요없다"고 잘라 말했다. 한수원 본사를 도심으로 보내고 그 이상의 인센티브를 가져올 수 있다면 동경주 주민들을 설득하겠다는 것이다.

동경주 주민들의 양보 의사는 현실적인 문제와도 무관치 않다. 당초에는 한수원 본사가 장항리로 오면 협력업체가 동경주로 따라오는 등 부수적 효과가 엄청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4만여평의 부지에 한수원 본사 건물의 존재 외에는 그 어떤 부수 효과도 없을 것으로 보이자 '이거는 아니다'며 고민하기 시작한 것.

실제로 이 문제에 관한 한 경주시도 현재 냉담하다. '한수원 본사를 가져간 만큼 더 이상의 기대는 말라'는 메시지를 꾸준히 보내고 있다. 경주시는 한수원 본사가 도심으로 와야 시너지 효과뿐만 아니라 협력업체도 동반해 올 것으로 보고 있다.

한수원 측이 장항리를 내키지 않아 한다는 점도 동경주 주민들 사이에서는 부담이다. 따라서 한수원 본사 하나만을 달랑 갖고 안팎으로 시달리기보다는 실리를 취하자는 논리가 기자회견의 단초라 할 수 있다.

길이 열린 만큼 결과 또한 주목되고 있다. 특히 정치권과 백상승 경주시장의 의중이 이 문제 해결의 열쇠다. 백 시장의 경우 연초 시의회에서 이전 논의 문제가 제기되자 "주민들의 합의해 원하면 정부에 건의할 수 있다"고 한 점으로 미뤄 적극 나설 가능성도 없지 않다.

다만 최종 결정까지는 아직도 넘어야 할 산이 적잖다. 이날 기자회견을 한 단체들은 동경주 주민 대표성을 절반 정도 지니고 있는 것. 사실상 한수원 본사를 동경주 쪽으로 유치한 동경주지역대책위는 아직 한수원 본사 장항리를 고수하고 있다.

경주·최윤채기자 cycho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