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 유통업체 위기…대구시 수수방관만"

"대구는 전국에서 지역 본사 유통업체가 생존해있는 유일한 도시입니다. 하지만 대형소매점에 이어 롯데백화점이 2곳이나 들어왔고, 이제 현대백화점까지 진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역외 유통업체로 인해 일어나는 지역자금 유출, 또 역외업체들의 지역 사회 기여 미비 등의 문제가 끊임없이 지적돼왔지만 '주도권'을 쥔 대구시는 무관심했습니다."

계명대 박명호 경영학과 교수는 '지역 본사 유통업체가 생존한 유일도시 대구'가 위협받는 것은 대구시의 책임이 크다고 주장했다.

"역외 유통업체로 인해 지역 자금이 자꾸만 밖으로 빠져나가는 상황에서 이들 역외유통업체는 지역사회에 대한 공헌이 미약합니다. 그러나 지역사회는 이 사실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손을 쓰지 못했습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손을 놓고 있었다고 봐야 합니다."

그는 역외업체의 대구 진입, 그리고 영업을 하는 행위 등이 지자체의 협조없이는 불가능한 것이라고 했다.

"지금까지 언론이 나서서 많은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하지만 달라진 것이 무엇입니까? 최근 현대백화점의 대구 진출 공시 이후 언론이 '지역 경제의 위기가 심화될 수 있다'며 또다시 유통업의 위기를 공론화해도 큰 반응이 없습니다."

그는 외국의 사례를 볼 것도 없이 지역 본사 체제를 만들어 백화점이 영업을 하는 광주를 보라고 했다.

"대구에 백화점, 대형소매점이 들어올 때는 '지역 백화점, 지역 대형소매점으로 들어오라'고 요구해야 합니다. '힘이 있는' 지자체가 역외 유통업체들에게 강력한 의무조항을 만들어야 합니다. 시민들이 이 역할을 할 수 없습니다. 지자체가 나서야 합니다. 역외 유통업체 문제에 대해서는 지자체의 의지가 필요합니다."

그는 대구시가 지금까지와는 다른 노력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역외 유통업체들이 이 지역의 자금을 쓸어가는데도, 지역에 대한 공헌이 지역 본사 기업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데도, 그냥 방관만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