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이 사람 죽여 볼래요'라는 자극적인 제목을 한 '킬 위드 미'는 한번의 클릭으로 사람까지 죽이는 디지털시대의 극단적 살인을 소재로 한 스릴러다.
인터넷에 섬뜩한 동영상 사이트가 열린다. 'www.killwithme.com' 사람 해골 X레이 사진을 전면에 내세운 이 사이트는 고양이가 죽어가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FBI 사이버 수사대의 제니퍼 마시(다이언 레인)는 예사롭지 않은 기운을 느낀다. 그리고 곧이어 피를 흘리며 포박된 한 남자가 나타난다. '많이 클릭할수록 빨리 죽는다'는 문구. 실제 접속자가 늘어날수록 남자의 출혈이 더욱 심해지고, 곧 사망한다.
가짜 살인을 다룬 엽기사이트로 여겼으나, 사망자의 신원이 확인되면서 희대의 살인에 사람들은 치를 떤다. 이 사이트는 IP 추적도, 차단도 불가능하다.
며칠 후 또 다른 남자가 시멘트에 몸이 박힌 채 뜨거운 조명 아래 엎드린 모습이 나타난다. 클릭할수록 더 뜨거운 조명이 비취도록 해놓았다. 이제 접속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프라이멀 피어' '프리퀀시'의 그레고리 호블릿 감독이 연출했다. 관객의 호흡을 멈추게 하는 탄탄한 연출력으로 볼거리를 선사한 재능 있는 감독이다.
'킬 위드 미'는 사이버 공간에서 벌어지는 이성 잃은 광포함을 살인에 연결시킨 스릴러다. 실제 인터넷은 살인 못지않은 폭력성이 난무하는 공간이다. 타인의 성행위를 엿보고, 머리가 잘리는 처형장면을 찾아 헤매고, 또 강간 등 자극적인 '야동'이 떠돌아다니는 무법의 공간이다.
악성 댓글이나 허위 사실 유포, 개인정보 도용 등이 아무 거리낌없이 자행되기도 한다. 그 결과 어떤 이는 사회적으로 매장되기도 하고 또 자살로 마감하기도 한다. 폭력성은 살인에 버금가는 행위들이다. 그러나 남의 옷 속에 칼을 들이대는 것이 아니기에 죄책감이 덜하다.
'킬 위드 미'의 연쇄살인마도 환경만 만들었을 뿐 살인은 접속자에 의해 저질러졌다고 강변한다. FBI가 접속하지 말라고 경고해도 접속자는 수천만명까지 올라간다. 댓글은 살인을 경탄하며 더 극단적인 살인을 요구한다. "이거 어떻게 다운받아요" "저 여자애를 다음 희생자로…" 등은 가히 이성의 실종을 극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레고리 호블릿 감독은 잔혹이 곁들여진 전형적인 스릴러로 그려내고 있다. 빠르게 올라가는 접속자 카운터, 그리고 고통받는 희생자의 모습은 차마 눈뜨고 볼 수 없게 만든다. 서서히 주입되는 황산에 희생자가 녹아드는 장면 등은 인터넷의 폭력성에 대한 경고치고는 지나치게 잔혹하다.
원제는 'Untraceable'. 도저히 추적할 수 없는 살인마라는 뜻이다. 배급사는 이를 '킬 위드 미'라는 선정적인 제목을 달았다.
지금 혹시 www.killwithme.com을 열어보고 있지는 않은가. 그렇다면 당신의 호기심은 도를 넘고 있다. 100분. 18세 관람가.
김중기기자 filmton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