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反省 기미도 없는 친박연대'창조한국당

친박연대 비례대표 1번 양정례 당선자가 총선 직전 15억 원을 당에 납부한 사실이 계좌추적을 통해 밝혀졌다. 검찰은 이 돈이 선관위에 신고한 당의 공식계좌로 들어간 점에 비추어 특별당비 명목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공천 대가성을 의심한다는 이야기다. '양정례 미스터리'의 꺼풀이 하나씩 벗겨지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친박연대가 31세 무명의 여자를 '화끈하게' 비례대표 얼굴로 내세운 데는 필시 곡절이 있을 것이라는 게 정치권 안팎의 눈초리였다. 특정 전문분야나 계층을 대변하는 대표성이나 무게감 같은 건 찾아볼 수 없는 인물이었다. 그런 그에게 학력 과장, 경력 위조, 남편 재산 신고 누락 같은 의혹이 터져나오자 서청원 대표는 펄펄 뛰었다. "아무 불법이 없다"며 검찰 수사를 '보복 정치'라고 반발했다. 그러면서도 기자들이 양 씨가 낸 특별당비 1억100만 원을 물어도 분명하게 말하지 않았다. 이번에 드러난 15억 원 부분은 입 밖에 꺼낸 적도 없다.

그래 놓고 이제 와서 "(15억 원은) 빌린 돈"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처음부터 양씨로부터 받은 돈을 모두 털어놓았다 해도 믿을까 말까 한 소리다. 그 전말은 검찰이 밝혀낼 몫이지만 한심한 것은 서 대표의 처신이다. 이런 함량 미달의 인물을 공천해 물의를 빚고 검찰 수사까지 불렀다면 한두 마디쯤 사과는 있어야 했다. 한나라당 공천을 문제 삼은 자신 또한 공천문제로 소란스럽게 한 데 대해 반성이 없다는 것은 정치지도자다운 자세가 아닌 것이다.

돈을 뿌린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는 김일윤 당선자 처리도 그렇다. 그가 친박연대로 당선하고 검찰이 구속영장을 청구하자 뒤늦게 제명 처분한 것은 그의 당선자 신분을 지켜주려는 얄팍한 계산에서가 아닌가. 이처럼 국민에게 염증을 주는 공천을 하고도 사과를 않기는 창조한국당 문국현 대표도 마찬가지다. 그는 사기 전과자를 비례대표 2번으로 당선시켜놓고 "나는 모르는 일"이라 발뺌하기 바쁘다고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