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어제 대구'경북을 경제자유구역(FEZ)으로 공식 지정했다. 대구'경북FEZ는 최초의 내륙형 경제자유구역으로 대구-포항-구미-경산-영천을 아우른다. 이번 지정은 대구'경북 시도민 100만 명이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서명운동에 동참할 정도로 뜨거운 열기를 보인 산물이다. 내륙지역도 경제 자유구역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관련 법률까지 바꿔가면서 일궈낸 것이다. 일찍부터 경제통합을 추진해 온 대구와 경북은 이로써 상생발전의 틀을 마련했다.
하지만 이번 지정은 출발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깊이 새겨야 한다. 경제자유구역이 우리가 염원하는 경제를 살리는 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들떠 있을 시간이 없다. 우선 필요한 재원마련이 문제다. 대구'경북 FEZ의 투자 금액 3분의 2는 민간과 외국인 투자를 통해 조달해야 한다. 총 사업비 4조6천78억 원 중 63%인 2조 9천212억 원이 민간과 외국인 몫이다. 정부지원은 5천210억 원(11%)에 불과하고 지자체 예산도 1조1천656억 원(26%)을 투입해야 한다. 이는 기존의 부산'진해권의 민간 및 외국인 투자유치 비율 41%나 광양만권의 30%보다 훨씬 높은 것이다.
재원마련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미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돼 개발 단계에 이른 곳들도 아직은 몇몇 대학이 이전 계획을 세웠거나 부동산 투자만 활발히 이뤄지고 있을 뿐 자본투자나 기업유치 같은 뚜렷한 실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참고해야 한다.
이번 대구'경북 FEZ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제2관문공항 등 경제인프라를 구축하고 고급 인력을 위한 정주시설을 갖추는 데도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 이 같은 각종 인프라가 갖춰졌을 때 국내외 투자유치와 첨단 산업 육성이 활발해지고 지역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이번 FEZ 지정에 따라 외국 자본이 순조롭게 유입되고 지식 기반 산업들이 활성화할 경우 2020년까지 102조 원의 총생산 유발 효과, 53조 원의 총부가가치 유발 효과, 18만 명의 고용유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는 대구'경북이 지금보다 더 뼈를 깎는 자세로 노력할 때 가능한 일이다. 이미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세 지역에서 가시적 성과가 없다는 비판에 귀 기울여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