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 당선자들 "경제통합 공감대…행정통합은 힘들 것"

4·9 총선 지역 당선자들은 대구경북 경제통합에 대해서는 모두 긍정적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경제통합을 어떻게 이뤄내느냐는 방법상의 문제에 대해서는 각자 다른 의견을 냈다. 또 행정통합은 바람직하지만 경북도청 이전 등으로 현실적으로 힘들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대구지역 박종근·서상기·주성영 의원 등은 "경제자유구역, 모바일 특구, 교육국제화 특구, 첨단의료 복합단지 등 대형 프로젝트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두 지역이 머리를 맞대면 경제통합은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경북의 김성조·최경환·이인기 의원과 이철우·김광림 당선자 등도 "경제통합은 대구경북의 파이를 키우는 것"이라며 "수도권과 경쟁하려면 지역에서 규모의 경제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찬성 이유를 들었다.

반면 정해걸 당선자는 "단순한 경제통합은 경북지역만 손해를 볼 수 있다"며 "양쪽 지역이 모두 사는 방법으로 경제통합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유승민 의원도 "경제 프로젝트는 공동으로 결정하고 추진함으로써 중복과 낭비를 줄이고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제통합의 방법으론 통합 특별기구 구성(김태환 의원), 광역경제 실무회의 정례화(김성조 의원), 상공회의소와 시·도 연수원 등을 하나로(이철우 당선자), 공통 프로젝트 추진(조원진 당선자)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장윤석 의원은 "광역단체는 독립적으로 가되 경제는 광역권으로 나아가면 된다. 대신 조율과정이 어려울 것"이라며 정부가 추진하는 광역 경제권과 발맞춰 나갈 것을 제안했다.

행정통합에 대해서는 주로 경북 당선자들을 중심으로 경북도청 이전 등의 이유를 들어 소극적인 의견을 드러냈다. 김광림 당선자는 "경제는 네트워크 등을 통해 하나로 묶으면 되지만 행정통합까지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박종근 의원은 "필요한 일이지만 행정구역이 다른 데 따른 이해득실이 달라 한계가 있다. 몇개의 경제권으로 나눠 차별적 정책을 구상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권성훈기자 cdro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