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가 한우농 폐농으로 몰아가나" 한우농가 격앙

정부가 29일 '미국산 쇠고기 및 쇠고기 제품 수입위생조건'의 내용을 확정 발표하자 한우농가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농가들은 "정부가 나서 우리 축산업을 폐농으로 몰아가는 꼴"이라는 격앙된 반응을 보였으며 "정부의 축산지원 대책도 한우시장 보호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전국한우협회는 정부의 발표가 있은 뒤 긴급회의를 열고 대책마련에 들어갔다. 전국한우협회 전영한 대구경북지회장은 "정부가 '비육안정제' 등 한우농가들이 요구한 사항들을 외면하고 정부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면서 "이제 한우농가들의 희망은 사라지고, 줄도산만 남았다"고 정부를 비난했다.

6천300농가가 5만6천여두의 한우를 키우고 있는 경주지역 농민들은 29일 새로운 미국산 쇠고기 수입조건이 고시되자 대부분 망연자실했다. 한우 250두를 키우고 있는 정병우씨는 "대책을 수립해 놓고 개방을 하는 것이 순서인데 먼저 열어놓고 대책을 내놓겠다 하니 기가 찰 노릇"이라면서 "더 이상 정부에 기대하지 않기로 했다"고 잘라 말했다.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줄도산만 남았다"는 목소리는 곳곳에서 한결같다. 이재환 안동한우협회장은 "부산물 등 아무도 먹지 않는 부위까지 모두 국내로 들여와 소비자들을 광우병 위험에 노출시킬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재협상에 나서 월령 제한과 부산물 수입 제한 등 새로운 수입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이재균 전국한우협회 구미지부장은 "정부가 다급한 나머지 임시방편으로 단기성 자금지원 등 몇가지 대책을 내놨지만 이는 1년 후 상환시기가 되면 오히려 더 큰 충격으로 돌아와 줄도산의 위험이 높다"고 주장했다.

축산농민들은 특히 "정부가 고급 한우 운운하고 있지만 현실을 몰라도 한참 모르는 소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미국산 쇠고기가 들어오면 고급 한우의 소비 또한 훨씬 줄어들게 뻔하다는 것이다. 아무리 한우라고 하더라도 소비자들이 믿지 않을 것이고 광우병 우려라는 불신은 소비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

최삼호 경주시축협장은 "올 들어 사료값 폭등으로 25kg 한 포대가 1만원 선을 넘나들고 있는데 이런 식이라면 그 어떤 대책도 무용지물이 될 것"이라며 사료값 안정이 가장 급한 현안이라고 말했다.

최윤채·엄재진·이희대·정창구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